※ 미등교학생 또는 복습하려는 학생은 EBSi 강의 말고 아래 영상을 시청하면 됩니다.

https://web.microsoftstream.com/video/548c2c64-fa7f-420a-941b-7f40a77fd697

 

Working...

 

login.microsoftonline.com

 

 

 

34쪽 상단 여백… 말고 (1)~(2)사이 여백에 필기

 

<초성자>

명칭 기본자
(상형의 원리)
가획자
(가획의 원리)
이체자
(원리 X)
어금닛소리 (음)
혓소리 (음) ㄷ, ㅌ
입술소리 (음) ㅂ, ㅍ  
잇소리 (음) ㅈ, ㅊ
목구멍소리 (음) ㆆ, ㅎ  

 

<중성자>

기본자
(상형의 원리)
초출자
(합성의 원리)
재출자
(합성의 원리)
天(하늘)  ㆍ  ㅣㆍ  ㅏ  ㅏㆍ  ㅑ 
地(땅)  ㅡ 
 ㅗ 
 ㅛ 

 ㅜ 
 ㅠ 
人(사람)  ㅣ  ㆍㅣ  ㅓ  ㆍㅓ  ㅕ 

하늘(양)이 먼저인 모음은 양성모음, 나중인 모음은 음성모음.

(옛날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세로쓰기 했다는 점 기억하자)

 

 

<종성자>

종성부용초성(=초성자 재탕, GOOD!)

8종성가족용(ㄱ,ㄴ,,ㄹ,ㅁ,ㅂ,, )

※ 꼭지가 있는지 유의하세요.

'ㄷ'과 'ㅅ' 둘 다 존재!

 

 

34쪽 [3] 중세국어 - (1) 표기 부분 필기 (날개에다 쭉 필기)

(1) 표기 ★발음나는 그대로 적었다!(=표음주의)

1) 종성표기: … 발음되는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2) 이어적기(=연철): 기본 형태를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었으므로, …

 

3) 연서(법): 순경음을 표현하기 위해 'ㅇ'을

'ㅁ, ㅂ, ㅍ, ㅃ'에 뒤이어 연달아 썼다.

→ ‘ㅱ, ㅸ, ㆄ, ㅹ’

※ 한국어 표기에는 'ㅸ'만 쓰였다.

 

4) 병서(법): 

'ㄲ, ㄸ, …' (각자병서) 또는

'ㄼ, ㅴ, …' (합용병서)처럼 나란히 썼다.

【22-05-17 15:50에 필기 수정】

합용은 중성(모음)의 운용에서도 나오는 개념임

   (ㅘ, ㅝ, ㅛㅑ, ㅠㅔ, …)

 

5) 방점 표기

거성: 점 하나 (고음)

상성: 점 둘 (저↗고)

평성: 점X (저음 - 보통 높이)

 

6) 모아쓰기(성음법) 이주영曰, "한글의 매력!"

초성, 중성, 종성을 합쳐서 적는다.

【+】 부서법: 합쳐적을 때 중성(모음)을 초성 아래나 오른쪽에 쓴다

【T.M.I.】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외교적? 고려)

1. 중국어는 불완전할 수 없다!(빈 종성은 'ㅇ' 채워 표기)

="훈민정음은 중국어의 완전함을 드러내는 문자입니다!"

2. "훈민정음은 중국어를 원어 그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2-05-18 09:35에 필기 수정】

(발음이 彆[beit] 같은 말의 종성 'ㅭ'로 엄밀하게 표기)

 

 

34쪽 [3] 중세국어 - (2) 음운 부분 필기

 

1) 자음

① 경음(된소리) 계열이 등장함.

수능(고교문법) 기준으로

ㅅ계 합용병서 = 된소리 (음운1개짜리. 단일음운)

ㅂ계, ㅄ계 합용병서 = 자음군(음운 2~3개)

 

ㅸ 발음 [v]  

ㅿ 발음 [z]

※ 얘네 'ㅂ, ㅅ'과 구별되는 음운이다(최소대립쌍 가능)

 

④ 종성에서 'ㄷ'과 'ㅅ'은 구별됨

 

 

2) 모음

① 'ㅐ, ㅚ, ㅔ, ㅟ'가 이중모음에 있네?

ㅇㅇ.

[ㅏj], [ㅗj], [ㅓj], [ㅜj] 로(=이중모음으로)

보면 된다.

'현대' = [현다이]! HYUNDAI가 맞았다

 

② 모음조화

현대국어와 달리 '체언+조사'나 '용언 어간+어미'

결합에서 모음 조화가 비교적 잘 지켜졌음.

 

 

3) 음운변동

① 두음법칙 없었다.

② 구개음화 없었다.

 

 

아래 PDF클릭하면 PDF파일로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34쪽 필기.pdf
0.15MB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