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번 문제 4번 선지 수정, 2번 문제 2,3번 선지 수정, 8번 문제 삭제(=풀지 마세요), 10번 문제 3번 선지 수정 및 5번 선지 오타 정정, 12번 문제 3번 선지 삭제(=4지선다형 문제라 생각하고 푸세요) (2019. 4. 19, 20:10)

【소단원평가 + 자습서】

1 위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회화적인 기법으로 장면을 묘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② 원경에서 근경으로 시선을 이동하며 시상을 전개한다.
③ 생명이 없는 대상을 마치 생명이 있는 것처럼 표현한다.
④ 압축적 표현으로 여백의 미학을 드러낸다.
⑤ 대상에 대한 관조적이고 탈속적인 태도로 봄 풍경을 형상화한다.


2 다음 시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석산 – 시인의 상상 속에 존재하는 이상향에 해당하는 산이며 인간 세계로부터 떨어져 있는 탈속적 공간이다.
② 산도화 – 생명 탄생의 순수함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소재로 두어 송이만 핀 산도화를 통해 구강산은 더욱 더 신비로운 분위기를 띠게 된다.
③ 봄눈 –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바뀌는 시점을 의미한다.
④ 물 – 사슴이 발을 담그는 행동을 유발하는 소재로 동적인 대상 묘사에서 정적인 대상 묘사로의 이동을 이끌어낸다.
⑤ 암사슴 – 차가운 물에 신기함을 느끼고 저도 모르게 이끌린 듯한 모습으로 봄을 맞아 생명력을 회복하는 생명체를 의미한다.


3 색채이미지를 중심으로 위 작품을 감상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연분홍빛 산도화의 이미지를 통해 과거 지향적인 삶의 태도를 환기하고 있다.
② 봄눈 녹아 흐르는 물을 무채색의 이미지를 사용해 맑고 깨끗한 느낌을 전달하고 있다.
③ 배경이 되는 구강산을 보라색의 이미지를 활용해 신비로운 공간으로 보여주고 있다.
④ 깨끗한 흰색을 지닌 봄눈의 이미지가 시대에 대한 저항과 비판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⑤ 갈색빛의 암사슴을 제시하여 시적 공간을 토속적인 노동의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4 위 작품을 낭송할 때 배경으로 쓸 이미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온 산
② 꽃눈이 터지고 있는 나뭇가지
③ 맑고 깨끗하게 흐르는 시냇물
④ 물에 발을 담그고 있는 사슴
⑤ 산도화가 흐드러지게 핀 산의 원경


5. 3연에 사용된 표현 기법과 가장 유사한 특징이 나타나는 작품으로 적절한 것은?

뼈에 저리도록 생활은 슬퍼도 좋다.
저문 들길에 서서 푸른 별을 바라보자.//
푸른 별을 바라보는 것은
하늘 아래 사는 거룩한 나의 일과이거니...
- 신석정, ‘저문 들길에 서서’

먼 산정에 서 있는 마음으로 나의 자식과 나의 아내와 그 주위에 놓인 잡스러운 물건들을 본다.
- 김수영, ‘구름의 파수병’

가난이야 한낱 남루에 지나지 않는다.
저 눈부신 햇빛 속에 갈매빛의 등성이를 드러내고 서 있는 여름 산 같은
우리들의 타고난 살결 타고난 마음씨까지야 다 가릴 수 있으랴.
- 서정주, ‘무등을 보며’

친구가 원수보다 더 미워지는 날이 많다
티끌만 한 잘못이 맷방석만 하게
동산만 하게 커 보이는 때가 많다
- 신경림, ‘동해바다’

산이 저문다.
노을이 잠긴다.
저녁 밥상에 애기가 없다.
애기 앉던 방석에 한 쌍의 은수저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 김광균, ‘은수저’


6 ‘암사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생명력이 없는 나약한 존재를 의미한다.
② 계절의 변화를 두려워하는 존재를 의미한다.
③ 수동적인 여성상을 상징하는 존재를 의미한다.
④ 깨끗한 물과 더불어 순결하고 순수한 존재를 의미한다.
⑤ 생명감이 없는 다른 존재와 대비되는 역동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7 <보기>를 참고하여 위 작품을 감상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여백은 표현을 절제한 것인 동시에 의도된 표현이다. ‘비움의 미학’ 즉 비움을 통해 비로소 진정한 채움을 얻는 ‘텅 빈 충만’의 역설적 미학이라 하겠다. ‘비움’으로 만든 문맥의 틈을 상상으로 채우는 것이다. 이 과정은 독자의 다시 읽기를 통한 상상력을 활발하게 견인한다. 물론 언어로 표현된 문맥에서도 독자의 경험 혹은 상상을 통한 다시 읽기는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무언’의 공간인 여백은 말을 비워둔 만큼 더 넓은 상상의 여지를 지닐 수 있다.
① ‘산’이 돌로 된 산으로 나타나 있어 묵직하고 충만한 느낌을 주는군.
② ‘보랏빛’으로 된 산은 독자로 하여금 신비로운 이미지를 상상하게 하는군.
③ ‘두어 송이’ 피어있는 산도화는 흐드러지게 핀 꽃들보다 오히려 ‘텅 빈 충만’을 느끼게 하는군.
④ ‘옥’은 아름다운 보석의 이미지로 ‘비움’의 정신을 역설적으로 강조하고 있군.
⑤ ‘발’은 ‘암사슴’의 신체의 일부로 대상의 전체 모습을 상상하도록 유도하는군.


8. (삭제)


9. 위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특정 음운을 반복하여 운율감을 부여하고 있다.
② 색채 이미지를 활용하여 대상의 특징을 부각하고 있다.
③ 선경 후정의 시상 전개를 통해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④ 원경에서 근경으로 시선을 이동하며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⑤ 간결하고 압축적인 표현으로 여백의 미를 드러내고 있다.


10. 위 시의 시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구강산'은 '보랏빛'과 연결되어 신비로운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군.
② '산도화'는 이상 세계를 연상시키는 소재로 '구강산'을 구체화하고 있군.
③ '발을 씻는' 행위를 하는 '사슴'은 시에 제시된 자연의 정경 중 일부를 구성하고 있군.
④ '산도화'는 '구강산'과 달리 화자의 과거 경험을 연상시키고 있군.
⑤ '사슴'은 '구강산'과 달리 동적인 이미지로 묘사되고 있군.

 

11. 황지우 '무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열거법을 활용하여 대상이 지닌 의미와 가치를 제시하였다.
② 시행을 의도적으로 배열하여 경쾌한 운율감을 형성하고 있다.
③ 시상의 전환을 통해 대상의 긍정적 속성으로 시상을 마무리하였다.
④ 본문의 글자를 독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통일체로 인식되게 하였다.
⑤ 영탄적 표현을 활용하여 대상에 대한 화자의 정서를 극대화하였다.


12. <보기>를 참고하여 황지우 '무등'을 감상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황지우 시인은 1980년대 초반 형식을 파괴한 실험적인 풍자시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무등’은 광주에 있는 무등산을 소재로 하여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우회적으로 드러낸 시로 시행을 의도적으로 배열하여 산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독자는 현대사의 쟁점이 되었던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무등산의 다양한 의미를 독특한 행의 배열을 통해 상상하면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① ‘절망의 산’, ‘분노의 산’은 시의 형식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태도를 보여준다.
② 수식어와 피수식어로 연결된 시구를 나열한 것은 현대사의 쟁점을 명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삭제)
④ ‘눈 뜨는 산’, ‘희망의 산’은 민중이 지닌 힘과 희망찬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⑤ 시상이 전환되는 부분을 기점으로 광주 민주화 운동에서의 민중의 절망을 상상할 수 있다.

 

 

 

 

1.③ 2.④ 3.③ 4.⑤ 5.③ 6.④ 7.③ 8.③ 9.③ 10.④ 11.② 12.④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