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학년이 배운 독서 관련 기본기>
사랑은 Thrill, Shock, Suspence...가 아니라 독서는 스캔 - 교통정리 - 돌입!
web.microsoftstream.com/video/c58beb4f-d3ee-4c24-9e84-2017afc756f3
<작년 3학년이 배운 독서 관련 비기>
<7회 3/3 지문>
면역이란 외부의 병원균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방어하는 현상을 말하며, 그 1차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피부와 점막이다. 우리 몸에 외부로 난 구멍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들은 대부분 점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이곳의 침, 각종 효소, 위산 등은 외부로부터 침입한 병원균을 막아 내는 역할을 한다. 때로는 피부나 점막에 상처가 나서 병원균이 침투하게 되는데, 이때 출동하는 것이 면역 세포, 즉 백혈구이다. 백혈구는 어느 한 세포의 이름이 아니라 혈액과 림프액 속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몇 가지 세포 집단을 ⓐ지칭하는 말로, 호산구, 호중구, 대식 세포, T 세포, B 세포, NK 세포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조혈모 세포로부터 분화되며, 일반적으로 백혈구라고 하면 이들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호중구를 뜻한다. 혈류를 따라 혈관 중심에서 움직이던 백혈구가 병원균의 침투를 알아차리고 혈관 밖의 염증 부위로 이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병원균이 침투했다는 사실을 백혈구가 알아차릴 수 있는 이유는 케모카인이라는 물질 때문이다. 케모카인은 평소에도 분비되어 백혈구들의 이동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다가, 상처가 나 병원균이 침투하면 이를 가장 먼저 감지한 대식 세포가 보내는 신호를 받고 해당 부위에 집중적으로 분비된다. 이는 백혈구 세포에 있는 케모카인 수용체의 반응을 ⓑ야기한다. 이 수용체는 백혈구 세포의 막에 존재하며, 마치 뱀이 똬리를 틀고 있는 듯한 모양을 하고 있다. 상처 부위에 다량의 케모카인이 분비되면 케모카인의 농도가 짙은 부위로 케모카인 수용체들이 쏠리면서 백혈구가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케모카인에 의해 주화성*을 띠게 된 백혈구들은 세포막 표면에서 쌍을 이루는 부착분자들의 결합을 이용하여 혈관 내부에서 움직이는 속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 부착분자들은 셀렉틴과, 뮤신과, 면역 글로불린 상과, 인테그린과의 네 가지로 ⓒ범주화되는데, 주로 셀렉틴과는 뮤신과와 결합하고 면역 글로불린 상과는 인테그린과와 결합한다. 이들 각각의 결합 쌍을 이루는 부착 분자 중 하나는 백혈구 세포에, 다른 하나는 혈관의 내피세포에 발현되어 백혈구의 움직임을 조정하게 된다.
우선 셀렉틴과 뮤신의 결합은 백혈구들이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셀렉틴과 뮤신이 혈관 내피세포와 백혈구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면 이들 간의 약한 결합이 이어졌다 끊어졌다를 반복하게 되면서, 백혈구는 혈관 벽을 타고 구르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 셀렉틴은 호중구와 혈관 내피세포의 관계에서는 후자에, T 세포와 혈관 내피세포의 관계에서는 전자에 주로 발현하여 백혈구가 혈류에 휩쓸리지 않고 상처가 난 곳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상처가 난 곳을 향해 이동하던 백혈구는 인테그린의 도움으로 목적지인 염증 조직 부근에서 정지하게 된다. 케모카인의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인테그린은 주로 백혈구의 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는데, 평소 무릎을 꿇고 있는 듯한 모습을 띠고 있기 때문에 백혈구는 쉽게 혈관 벽에 ⓔ부착되지 않고 혈류를 따라 흘러간다. 그러나 케모카인의 연속적인 신호로 인해 인테그린이 활성화되면서 인테그린은 다리를 쭉 편 듯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렇게 활성화된 인테그린은 주로 혈관 내피세포에 발현되는 면역글로불린 상과 부착분자와 강한 결합을 형성한다.
인테그린과 면역 글로불린 상과 부착분자의 강한 결합으로 인해 목적지에 정지하게 된 백혈구는 혈관 내피세포 사이로 빠져나가 염증이 일어난 조직으로 침투하게 되고, 이후 각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가장 먼저 도착한 호중구는 케모카인 알람이 울린지 6~12시간 안에 감염 부위로 몰려들어 병원균을 분해하고 활성 산소를 만들어 병원균을 죽이기도 한다. 감염 발생 후 12시간쯤 지나면 더욱 강력한 면역 세포인 NK 세포가 등장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죽여 없애는데, 여기까지가 모든 동물이 가지고 있는 면역 시스템인 선천적 면역의 과정에 해당된다.
*주화성: 생물이 화학적 자극에 반응하여 운동하는 성질.
(2학년 1반용 - 창의적체험활동)
'[fin.] 2020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회 1/3 세트 (0) | 2020.11.11 |
---|---|
11회 3/3지문 (2) | 2020.11.06 |
11회 2/3 지문 (0) | 2020.11.03 |
10회 2/3 지문 (0) | 2020.10.21 |
10회 1/3 지문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