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칙0. 모든 문장은 최소한
기본형이 동사, 형용사, '이다'인 단어(서술어) 개수만큼
절을 추출할 수 있다.
※ 단, '본용언-보조용언'인 건 서술어 1개로 본다.
봄이 오면 꽃이 핀다 (봄,이,오다,꽃,이,피다) →절이 2개 이상이다. ① 봄이 오다 ② 꽃이 피다 →두 문장이 연결어미 '-면'으로 이어진 겹문장 |
꽃이 피는 때가 바로 봄이야. (꽃,이,피다,때,가,바로,봄,이다) ① 꽃이 피다. ② 그러는 때가 바로 봄이다. →관형어 '그러는' 자리에 ①이 들어간 겹문장 (②가 ①을 안은 문장이며, ①은 관형절) |
┗ 대원칙1. ⚠ (추출 과정에서)
접속표현(예. 접속조사 '와/과')이 있으면 ×2가 들어간다.
(모든 겹문장은 각 절에서 중복되는 말을
다 생략한다는 점을 유념하자.)
범수와 삼찬이가 등교지도를 한다. (범수,와,삼찬이,가,등교지도,를,하다) →절이 1개 이상이다. →접속조사가 있네? ① 범수가 등교지도를 한다. ② 삼찬이가 등교지도를 한다. → 두 문장이 접속조사 '와'로 이어진 겹문장 |
그 선배가 결국 내 동기와 헤어졌다. (그,선배,가,결국,내,동기,와,헤어지다) →절이 1개 이상이다. →여기에 쓰인 '와'는 접속 조사가 아니다. ※ '와/과' 판별법 순서를 바꿔도 같은 메시지인가? 쉼표로 바꿔도 무방한가? ─[YES]→ 접속조사! ─[NO]→ 부사어를 만드는 격 조사 |
┗ 대원칙2. ⚠ (추출 과정에서)
주어가 연달아 두 개? 서술절을 의심해라.
('되다/아니다'가 아닌데 문장 첫머리에 있는 주어 말고
조사 '이/가'를 쓰는 놈이 또 있다? 서술절을 강하게 의심!)
코끼리가 코가 길다. (코끼리,가,코,가,길다) →절이 1개 이상이다. →접속조사는 없고, →주어가 두 개? 서술절 각인가? ① 코가 길다 ② 코끼리가 그러하다 →서술어 '그러하다' 자리에 ①이 들어간 겹문장 (②가 ①을 안은 문장이며, ①은 서술절) ⚠ '코끼리는 코가 길다' '코끼리가 코는 길다' 등으로 조사 '이/가'가 한 번만 등장하게 하는 얕은 술수(!)를 부리는 경우가 종종 있음. |
내가 범인이 아니야. (내,가,범인,이,아니다) →절이 1개 이상이다. →접속조사는 없고, →'범인이'는 보어네. |
대원칙3.
안긴문장의 성격(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은,
'어떤 지시/대용표현으로 치환이 되는가?'로 판단하라.
※ 특히 '그러기(=명사형)'로 치환되는 명사절이
해당 문장에서 관형어로서 기능하는 경우(예 - 그러기 전에)
그 명사절을 관형절로 착각하지 않는 데 효과적이다.
(☜ 의외의 복병! 킬러 문항.)
(26쪽에 있는 안은문장 예문들을 여러분이 직접 한 번 쪼개 볼까요?) |
대원칙4. "##문"의 경우 기계적으로(1차원적으로) 판정하고,
"~~ 표현"의 경우 의미로 판정한다.
우리 보스는 민주적이지 않다. (부정문O, 부정표현O) |
우리 보스는 비민주적이다. (부정문X, 부정표현O) |
대원칙5. 사동 표현은 반드시 피사동주가
서술어를 (일부라도) 행해야 한다.
교사가 겹문장 분해를 교생에게 교육했다. ('교육'을 '교사'가 하는 것) |
교사가 겹문장 분해를 교생에게 교육시켰다. ('교육'을 '교생'이 하는 것) ※ 만약 '교육'을 교사가 하는 건데 이렇게 사동문으로 썼다면, 틀린 문장이다. [TIP] '-시키다'를 '-하게 하다'로 바꿔보면 잘 솎아낼 수 있다. |
※ 2022-04-11 11:30 미등교학생들이 각 대원칙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원칙마다 예문을 추가하였습니다.
※ 위 대원칙과 관련된 교재내용(24~29쪽)에 대한 설명을 영상으로 시청하고 싶은 학생은 https://winterfg.tistory.com/261 에 안내된 영상을 들어가서 4시43분00초부터 시청하면 됩니다.
'[fin.] 2022 언어와매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와매체·화법과작문 과목독서를 고민하는 학생들을 위한 책 추천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 (0) | 2022.04.28 |
---|---|
언어와매체 1학기 전반부 전체내용 정주행 (0) | 2022.04.11 |
단어 개념 필기 2부(단어③) (0) | 2022.03.28 |
단어 개념 필기 1부(단어②) (0) | 2022.03.28 |
적용학습 3~4강(단어①)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