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쪽 [2] 단어의 형성 - (1) 형태소
(예문 표 밑에
[단어: 나, 는, 잘, 익다, 과일, 을, 아이, 에게, 먹이다] 추가)
(의존 형태소 예에서 '는', '을', '에게'에 동그라미 친 후
여백에다 조사 외에는 모두 '-' 표시 필수! 필기)
(이어서 '-' 표시 밑에다가,
↳ 혼자서는 단어가 될 수 없는
단어 미만의 말(접사, 어미, 어간)이라는 표시
추가로 필기)
19쪽 [2] 단어의 형성 - (2) 단어 - 1) 단어
(예문 표 밑에
[형태소: 저, 넓-, -은, 밭, 을, 갈-, -고, 있-, -는, 사람, 은,
이, 마을, 에, 오래, 살-, -았-, -다] 추가)
(날개 '조사를 단어로 처리한 이유'
아래 여백에 필기)
☞ 조사를 단어 미만으로 보면
한국어 전체 어휘의 90% 이상을(특히 체언을)
접사·어미·어간처럼 작대기 표시해서 처리해야 하는
(=체언을 단어로 인정 못하게 되는) 문제 발생.
19쪽 [2] 단어의 형성 - (2) 단어 - 2) 단어의 구조
(표에서 '어근'의 '근'에 동그라미
'실질적인'에 동그라미
두 동그라미에서 화살표 빼서 Core 필기)
(표에서 '접사' 설명 한 줄 전체 밑줄 치고
뒤로 화살표 빼서 Add-on 필기)
(표에서 제목 '접사'에서 화살표 길게 두 개 빼서
위에 있던 '형태소의 종류' 표의
'의존형태소'와 '형식형태소'에 각각 연결)
(19쪽 하단 여백에 필기)
대원칙 2. 접사는 형식형태소(문법형태소)이다.
(마지막 표에서
'단일어'에 '하나의 어근으로만' 밑줄,
'합성어'에 '둘 다 어근인 단어' 밑줄
'파생어'에 '둘 중 하나가 접사' 밑줄)
대원칙 3.
'어근&접사'가 세트고, '어간&어미'가 세트다. 서로 섞지 마라.
【대원칙 보충 설명】
'어근&접사'는
새 단어(합성어,파생어)를 만드는 차원에서
거론되는 개념이고,
'어간&어미'는
만들어진 단어가 활용되는 차원에서
거론되는 개념입니다.
(날개 '직접 구성 요소' 주변 여백에 필기)
복합어를 역학조사(?)하는 과정에서
분해를 한 번에 두 조각씩으로만 한다고 할 때
각 단계가 파생인지 합성인지 따지는 것
(예) 민물고기? 민-/물/고기 ☜ 직접 구성 요소 분석 아님
민물고기? 민물/고기!
민물? 민-/물! ☜ 이런 식이 직접 구성 요소 분석)
20쪽 [2] 단어의 형성 - (2) 단어 - 3) 합성어의 형성과 분류
(통사적 합성어의 경우들 밑줄, '연결형'에 강조 표시)
명사+명사, 용언의 관형형+명사, 용언의 연결형+용언 어간
(통사적 합성어의 경우 두 개 더 추가)
부사+용언 어간("그만두다", "잘생기다")
부사+부사("또다시", "실룩샐룩")
(20쪽 하단 여백에 필기)
대원칙 4. 합성어를 두 조각 냈을 때
앞말이 작대기(-) 상태?
100% 비통사적 합성어다!
(예. 밉상? 밉-/상! ☜비통사적 합성어)
【대원칙 보충 필기】
이 외에는
'명사를 수식할 수 없는 부사 + 명사' 조합과
(예. "척척박사", "산들바람")
두 조각 냈을 때 한 쪽이 비자립 어근인
특수한 경우(예. "부슬비") 정도뿐입니다.
20쪽 [2] 단어의 형성 - (2) 단어 - 4) 파생어의 형성과 분류
(날개에 밑줄)
접미사는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경우가 많음.
【보충설명】
Q. 똑같이 생긴 접사와 어미들이 헷갈려요.
A. 솔직히... 저도 곧잘 헷갈립니다.
하지만
수능 문제 푸는 데에는 '대원칙 3'을
유념해서 다음과 같이 생각하면 충분합니다.
접사는 파생어를 만드는 말입니다.
다시 말해, 접사가 붙으면
아예 새로운 단어가 되는 셈입니다.
※ 붙기 이전의 속성은
(=기존 단어의 품사적 특성은)
조금도 남아 있지 않음.
반면, 어미는 가변어 활용의 영역입니다.
원래의 속성(=품사적 특성)을
여전히 갖고 있습니다.
※ 가령,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라면
명사형 어미 '-기'를 썼더라도
목적어가 남아 있음.
그리고 수능에서는 저 색칠한 부분을
반드시 선지 판단의 근거로 심어 놓습니다.(예)달리기 종목에서는 13반이 우승했다.마지막 바퀴까지 힘껏 달리기는 힘들다.
20쪽 [3] 단어의 의미 - (1) 단어의 의미 관계
(날개 마지막 줄 밑줄 후 보충 필기)
'다른 표기: 붙이다/부치다'
↳ 얘네도 '동음'이의어에 해당됨
(same sound)
(날개에 필기 추기)
※ 품사통용도 다의어 성립 조건.
(20쪽 하단 여백에 필기)
대원칙 5. 반의 관계는
반드시 딱 한 가지 자질(=의미 요소)만
정반대여야 성립한다.
⚠ 주요 낚시 사례 ⚠
할아버지 : 손녀
오빠 : 누나
20쪽 [3] 단어의 의미 - (2) 단어의 의미 변화
(별도 필기 없음)
21쪽 [4] 단어의 표기
(일단 두 표기법의 설명 첫머리 밑줄 치고 보충 필기)
(1)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
우리가 외래어를 통일되게 쓰고/읽을 수 있도록
(2) 로마자 표기법: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
외국인이 우리말을 통일되게 읽을 수 있도록
(외래어 표기법 기본 원칙 ③의
자음 7개를 동그라미로 묶고
화살표 빼서 보충 필기)
한국어의 /ㄷ/은
구개음화 등의 음운변동이 곧잘 일어나는 음운이어서
음운 변동이 거의 없는
다른 나라의 치조파열음(/D/)등을 나타내는
표기로는 적합하지 않아, 외래어 받침 표기에서 배제했음.
(외래어 표기법 기본 원칙④
밑줄 & 강조 표시)
(로마자 표기법 기본 원칙①
밑줄 표시 후 보충 필기)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음을 원칙으로 함.
= Before 말고 After로(=최종발음으로) 표기함.
(로마자 표기법의 주요 내용 중
다음 부분들 밑줄 표시 및 보충 필기)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울림소리로만 소리나기 때문
'ㄹ'은 모음 앞에서는 'r'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되
'ㄹㄹ'은 ll로 적음
(예) 신라쌀가루 Sillassalgaru
경음화(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음.
※ 처음부터(=Before가) 된소리인 것은
표기에 반영한다.
('경음화(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음' 부분과
날개의 '체언에서 일어나는 격음화(거센소리되기)의 표기'
부분을 통으로 크게 묶어서(약간 Enter키 모양?)
얘네만 발음과 다르게 표기하는 부분이다! 필기)
위 필기를 교재에 하고, 필요에 따라 아래 관련 EBSi 강의를 시청하면 됩니다.
▶ [2023 수능특강] 장재혁의 언어와 매체 04강 교과서 개념 학습 2강 - 단어(2)_p.19
'[fin.] 2022 언어와매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와매체 1학기 전반부 전체내용 정주행 (0) | 2022.04.11 |
---|---|
적용학습5~7강 & 문장 개념 필기(문장①) (0) | 2022.04.11 |
단어 개념 필기 1부(단어②) (0) | 2022.03.28 |
적용학습 3~4강(단어①) (0) | 2022.03.22 |
2022학년도 1학기 3학년 언어와매체 수행평가 안내 (0)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