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줄거리

표음주의

맞춤법에서, 단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어야 한다는 주장. 같은 단어라도 다르게 발음되면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표의주의

맞춤법에서, 단어를 어법에 맞도록 적어야 한다는 주장.(☞발음과 다르게 제대로 적은 것은 모두 표의주의)


 

 


 

※ 수업시간에 제시된 학습자료

 

표음주의의 가치 ▼ "GHOTI"

 

If the GH sound in ENOUGH is prounced "F"

& The O in WOMEN makes the short "I" sound

& The TI in NATION is pronounced "SH"

 

Then the word

"GHOTI"

is prounced just like

"FISH"

 

Welcome to the ENGLISH LANGUAGE!

 

https://www.sketchplanations.com/post/126571242006/crazy-english-ghoti-ghoti-is-a-constructed-word

 

Sketchplanations

Crazy English: ghoti. Ghoti is a constructed word intended to illustrate some of the craziness in English punctuation, in that, taking the sounds of its parts from different places, it could be said...

www.sketchplanations.com

 

 

 

표의주의의 가치 ▼ "어원맵"

어원맵(강성태 영단어 어원편).jpg
4.50MB

https://www.gongsin.com/courses/432511

 

대한민국 No.1 공부법, 공신닷컴

강성태 영단어, 영문법, 영어독해, 공부법 강좌 무료!

www.gongsin.com

 

 

 


 

※ 주요 필기 ① (보조자료1 - B4 두 쪽 짜리 by 이창식선생님)

 

 

"표의" 제14항구별하여 적는다.

'떡, 손, 팔, 밤, 집, 콩'은 표기=발음
'옷[옫], 낮[낟], 꽃[꼳], 밭[받], 앞[압], 밖[박], 넋[넉], 흙[흑]'은 표기≠발음

 

"표의" 제15항 구별하여 적는다.

<읽기의 능률?>
GOOD ☞ '늙다, 늙고, 늙어, 늙으니, 늙는'
BAD '늑따, 늘꼬, 늘거, 늘그니, 능는'


<심화>
'덥다, 덥고, *덥어, *덥으니, 덥는'

서울 사람들 [더워], [더우니]
지방 사람들 [더버], [더브니]

한글맞춤법 제1항에 의해 서울사람들 승!!  '더워', '더우니'로 표기함.


<대체로 이렇습니다>
규칙적인 것, 잘 알려진 것들은 원형대로(표의주의)
불규칙적인 것, 잘 모르는 것들은 소리대로(표음주의)

 

[붙임 1] …  그 원형을 밝히어 적고, 밝히어 적지 아닌한다.

"표의" (1)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

"표음" (2) 본뜻에서 멀어진 것

'드러나다, 사라지다, 쓰러지다'의 앞말 고찰

들다 Enter밖에서 안으로 가거나 오다
살다 Live ☜ (설명 생략)
쓸다 Sweep ☜ 질질 끌거나 바닥을 스치다, 가볍게 쓰다듬거나 문지르다, 비질하다



<심화>

부서지다....?  
불거지다....?


<대체로 이렇습니다>
'본뜻에서 멀어진 것'이라는 조문의 구절은 '본뜻을 정확히 밝힐 수 없는 것'도 포함한다.

 

"표의" [붙임 2] …  어미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는다.

"표음" [붙임 3] …  '이요'는 '이요'로 적는다.  

(중고거래 중인 두 사람)
“타기 편하신 건 1호선①이오, 7호선②이오?
“1호선③이오.
“그러면 금천구청역에서 거래④하오.
“네?? 쿰척쿰척역⑤이오?


1. ①~⑤ 중 표기가 틀린 것은?

2. (1번 답 빼고) 남은 4개 중, '오'를 [요]로 발음하면 안되는 것은?

BONUS. (수업시간에 공개)

 

"표의" 제19항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표음" 다만, …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표음" [붙임] …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낯선 어휘 풀이>
땀받기: 땀이 (겉)옷에 배지 않도록 안에 입는 옷 또는 헝겊. ≒속옷
벼훑이: 벼 이삭에서 쌀알을 골라내기 위한 도구. ≒탈곡기
작히: (감탄문, 수사의문문에서) '어찌 조금만큼만', '얼마나', '오죽'의 뜻으로 쓰이는 부사
굽도리: 방 안 벽의 밑부분.
다리(髢): (주로 여성이) 머리를 꾸미기 위해 덧붙이거나 덧올리는 머리. ≒가체(加髢)
무녀리: 다태아 중 먼저 나온 태아

뜨덤뜨덤: 말을 느리게 한마디씩 던지거나 더듬거리며 자꾸 말하는 모양. 
바투: 거리가 아주 가깝게, 시간이나 길이가 아주 짧게


<어간 추출>
귀머거리 - 귀먹
까마귀 - 까맣
너머 -
뜨더귀 -
마감 -
마개 -
마중 -
무덤 -
비렁뱅이 -
쓰레기 -
올가미 -
주검 -

거뭇거뭇 -
너무 -
도로 -
뜨덤뜨덤 -
바투 -
불긋불긋 -
비로소 - 비롯하
오긋오긋 - 오그라
자주 -
차마 -

나마 -
부터 -
조차 -

 

"표의" 제20항 …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표음" [붙임]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낯선 어휘 풀이>
곰배팔이: 팔이 꼬부라져 붙어 펴지 못하거나 팔뚝이 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모가치: 몫으로 돌아오는 물건.
싸라기: 부스러진 쌀알. 
짜개: 콩이나 팥 따위를 둘로 쪼갠 것의 한쪽.

 

 

 

※ 주요 필기 ② (보조자료2 - A4 한 쪽 짜리 by 고은아선생님)

 

형태소는 더 이상 쪼갤 수 없으며, 쪼개면 의미가 사라진다.

+ 나무

먹- + -다

 

자립성 유무에 따라

실질적 의미의 유무에 따라

하늘/이/매우/새-/파랗-/-다

 

접사: 단어를 형태소로 분석했을 때, 어근에 붙어 그 의미를 더하거나 제한하는 부분

접두사 어근의 앞에 붙어 … (한정적 접사)

접미사 어근의 뒤에 붙어 … (지배적 접사)

(※ 예로 제시된 '-롭-'을 '-롭다'로 고치기 바랍니다.)

 

먹히다: (어간/어미) 먹히- / -다, (어근/접사) 먹- / -히-

 

파생어

합성어

 

 


 

 

※ 추천 사이트

 

①스케치플래네이션

https://www.sketchplanations.com/archive

 

Sketchplanations: Archive

Explaining one thing a week in a sketch

www.sketchplanations.com

 

②공신닷컴

https://www.gongsin.com/attaches?cate=%EC%98%81%EB%8B%A8%EC%96%B4

 

대한민국 No.1 공부법, 공신닷컴

강성태 영단어, 영문법, 영어독해, 공부법 강좌 무료!

www.gongsin.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