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운

web.microsoftstream.com/video/a721de92-c2cd-4682-9977-30690aa9c83e

(42분14초)

 

2. 단어

☞ 1부(품사까지) web.microsoftstream.com/video/ac6e2528-ac86-477a-b817-ae66345611e5

☞ 2부(합성·파생부터) web.microsoftstream.com/video/96684ae1-654e-4c24-acb3-4fdc219a1b3a

(1부 69분59초 / 2부 35분24초)

 

3. 문장 

web.microsoftstream.com/video/fb21ba1e-5d0b-457f-a707-836b5e5666c8

(58분 47초)

 

4. 세화고 기출문제 풀이

2019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 web.microsoftstream.com/video/6e64a104-9de0-435b-a920-4f54c1c6fc7d

☞ 2019학년도 2학기 기말고사 web.microsoftstream.com/video/67e98128-5ddf-4662-96b5-fc0fc6cfa2a7

(중간고사 71분23초 / 기말고사 63분4초)

 

 

 

【 질문방법 】

※ 재학생만 가능

Teams를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합니다.

팀즈에 세화계정으로(~~@sehwa.hs.kr) 로그인 후,

검색창에서 저를 찾아 고른 후 질문하면 됩니다.

수능 치는 그날까지 적극 이용하기 바랍니다.

 

 

 

 

【 학습지 다운로드 하는 방법 】

 ※ 재학생만 가능

세화고리로스쿨에 접속합니다.

학습자료실 게시판에서 3학년게시물 중 28~31번에 있습니다.

강다연선생님의 오픈카톡방 링크도 함께 있습니다

 

 

 

 

【 학습지 문제 풀이

 

학습지 3쪽의 네 문제 중
■□
□□ 위치에 있는 문제

① (ㄴ)에 있는 비분절 음운의 경우 표기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음운은 표기할 수 있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다.
② 【발-달-살】 【발-불-볼】 【발-밥-방】 【눈[눈ː]-눈[눈]】 모두 의미가 달라졌으므로 적절하다.
③ 음운 변화는 (ㄱ)과 (ㄴ) 어디에서도 다뤄지지 않았다.
④ 모음은 중성 위치에서, 초성은 초성과 종성 위치에서만 나타난다. 따라서, 적절하지 않다.
⑤ ?

따라서 정답은 ②


─────


학습지 3쪽의 네 문제 중
□■
□□ 위치에 있는 문제

ㅔ에서 ㅐ로 간다면, 중모음으로 발음하던 부분만 저모음으로 발음하면 된다. 혀의 최고점 위치(전설-후설)와 입술의 모양(평순-원순)은 변동이 없다.
따라서 여기에 부합하는 선택지를 고르면 …… ②!

① 둘 다 평순모음이다.
③ 둘 다 단모음이다.
④ 둘 다 평순모음이다.
⑤ 둘 다 전설 모음이다.

따라서 정답은 ②


─────


학습지 3쪽의 네 문제 중
□□
■□ 위치에 있는 문제

① ?? 현대국어에서는 초성에 하나의 자음만 올 수 있습니다. 된소리도 한 개의 음운입니다.
② ㄱ~ㄹ의 예시 모두 중성에는 모음이다.
③ 종성이 있는 ㄷ~ㄹ의 예씨를 보면, 종성에는 모두 자음이다.
④ ㄱ~ㄷ은 초성 또는 중성이 없이 음절을 이루고 있다.
⑤ ㄱ~ㄹ의 예씨 모두 중성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①


─────


학습지 3쪽의 네 문제 중
□□
□■ 위치에 있는 문제

음운 단위로 풀어서 써 보자.
ㅅ ㅟ ㄹ ㅣ
ㅁ ㅏ ㄹ ㅜ
ㄱ ㅜ ㅅ ㅣ ㄹ
ㅁ ㅗ ㄹ ㅐ
ㅅ ㅗ ㄹ ㅣ
ㄱ ㅜ ㅅ ㅡ ㄹ
ㅁ ㅓ ㄹ ㅜ

쉬리-소리 (ㅟ vs ㅗ)
마루-머루 (ㅏ vs ㅓ)
구실-구슬 (ㅣ vs ㅡ)

이 여섯 모음을 [B] 표에 채워 넣고 선지를 보면, 평순모음은 4개이다.(ㅣ,ㅡ,ㅓ,ㅏ)

따라서 정답은 ③


─────


6쪽의 "7)반모음화"에 있는 문제

선지의 각 말을 음운 단위로 풀어 써 보자.

(前) ㄸ ㅟ ㅓ
(後) ㄸ ㅟ  j ㅓ
∴ 반모음 j 첨가

(前) ㅊ ㅏ ㅏ ㄷ ㅗ
(後) ㅊ ㅏ ㄷ ㅗ
∴ 'ㅏ' 탈락

(前) ㅈ ㅏ ㅁ ㄱ ㅡ ㅏ
(後) ㅈ ㅏ ㅁ ㄱ ㅏ
∴ 'ㅡ' 탈락

(前) ㄱ j ㅓ ㄴ ㄷ ㅣ ㅓ ㅅ ㅓ
(後) ㄱ j ㅓ ㄴ ㄷ j ㅓ ㅅ ㅓ
∴ 반모음 j로 교체

(前) ㅋ ㅣ ㅜ ㅓ ㄹ ㅏ
(後) ㅋ ㅣ w ㅓ ㄹ ㅏ
∴ 반모은 w로 교체

따라서 정답은 ④


─────


30쪽 '합성어의 형성 과정 탐구'에 있는 문제

(C)를 보니 품사를 묻고 있습니다. 그러면 뭐부터? 일단 기본형으로!
그리고 어근과 접사를 따지고 있습니다. 단순분리해서 띄어 쓴 후, 문장에서도 이렇게 쓰는지 따져 봅니다.

【이른 바】
동사 '이르다'를 어미 '-ㄴ'으로 활용하여 관형어로 쓴 구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는 의존 명사이고요. '바라는 바' 같은 표현과 동일한 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자연스럽습니다.
(관형어로 쓰인 동사) + (명사)의 통사적 합성어이고, 문장에서는 부사로 쓰일 겁니다.

【감 싸다】
동사 '감다'와 동사 '싸다'의 합성어로 보이는데 '감-'을 어간만 덩그러니 문장에서 쓰는 경우는 비정상입니다. 비통사적 합성어입니다.
(어간만 남긴 동사) + (동사)의 비통사적 합성동사입니다.

동사 【바로 잡다】
부사 '바로'와 동사 '잡다'의 합성어입니다. '빨리 잡다' 같은 표현과 동일한 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자연스럽습니다.
(부사) + (동사)의 통사적 합성동사입니다.

명사 【건널 목】
동서 '건너다'를 어미 '-ㄹ'로 활용하여 관형어로 쓴 구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목'은 명사이고요. 위의 '이른바'와 동일한 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자연스럽습니다.
(관형어로 쓰인 동사) + (명사)의 통사적 합성명사입니다.


이제 답을 찾아 봅시다.
비통사적 합성어인 '감싼'을 먼저 [A]에 빼고
동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부사가 된 '이른바'를 [B]에 뺍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

 


31쪽 12번 문제

① 군- 것 -질 ☜ (접사 + 어근 + 접사)이므로 탈락!
② 바늘 -질 ☜ (어근 + 접사)로 어근이 하나이므로 탈락!
③ 겹 겹 -이 ☜ (어근 + 어근 + 접사)이고, '겹겹'에다 '-이' 붙었다는 해석도 자연스럽습니다.
④ 다듬- -이 ☜ (어근 + 접사)로 어근이 하나이므로 탈락!
⑤ 헛- 웃- -음 ☜ (접사 + 어근 + 접사)이므로 탈락!

따라서 정답은 ③


─────


31쪽 13번 문제

① 싸우- -ㅁ -꾼 ☜ (어근 + 접미사 + 접사)이고, '싸움' 이후에 '-꾼' 붙었다고 해석했을 때 자연스럽습니다.

② (앞 문제에서 설명했으므로 생략) (접두사 + 어근 + 접미사)이므로 탈락!

③ 놀- -이 터 ☜ (어근 + 접미사 + 어근)이므로 탈락!

④ 병 막- -개(-애) ☜ (어근 + 어근 + 접미사)이므로 탈락!
※ 마개에 쓰인 접미사 '-개(-애)'는 국어사 시간에 다루겠습니다. 여기서는 저놈(?)이 접미사인 것까지만 탐구해도 충분합니다.

⑤ 밀- 닫- -이 ☜ (어근 + 어근 + 접미사)이므로 탈락!

따라서 정답은 ①


─────


31쪽 14번 문제

어간만 뽑으면 '내리치-', '떠넘기-', '헛돌-', '오가-', '짓밟히-'입니다.
이제 얘네(어간 부분)을 쪼개어 봅시다.

① 내리- 치- ☜ 2개밖에 안 나오므로 탈락!
② (떠-?/뜨-?) 넘- 기-  ☜ 3개!! 일단 보류.
③ 헛- 돌-  ☜ 2개밖에 안 나오므로 탈락!
④ 오- 가-  ☜ 2개밖에 안 나오므로 탈락!
⑤ 짓- 밟- -히-☜ 3개!! 일단 보류.

'짓밟히다'는 '짓고 밟는다'는 의미는 확실히 아닙니다. 따라서 여기 쓰인 '짓'은 '짓다'의 어간이 아니라, 접사일 겁니다. 짓무르다 같은 말에 쓰이는. 따라서 ⑤는 (접사+어근+접사)이므로 탈락!

따라서 정답은 ②
다만, '떠넘다'가 너무 낯설게 느껴져서, '떠넘-'(어근+어근) 이후에 '-기-'(접사)가 붙었다고 봐도 되는지는 개인적으로 모르겠습니다.


─────


41쪽 '♥피동사와 사동사의 구분'에 있는 문제

능동문이 피동문으로 바뀔 때에는 서술어의 자릿수가 줄어드는 편이고, 주동문이 사동문으로 바뀔 때에는 서술의 자릿수가 늘어나는 편이라는 걸 복습하기 좋은 문제입니다.

① ㄱ-피동, ㄴ-피동
② ㄱ-피동, ㄴ-사동
③ ㄱ-사동, ㄴ-사동
④ ㄱ-사동, ㄴ-사동
⑤ ㄱ-사동, ㄴ-피동

따라서 정답은 ⑤

 
─────


42쪽 문제(학습지 마지막 문제!)

① ㄱ-피동, ㄴ-사동
② ㄱ-피동, ㄴ-피동
③ ㄱ-사동, ㄴ-사동
④ ㄱ-사동, ㄴ-피동
⑤ ㄱ-피동, ㄴ-사동

음? ㄱ피동, ㄴ사동인 선지가 2개네?
아하, ①의 ㄴ에 쓰인 갈리다는 <보기>에 제시된 단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피동사동 구분 문제는 종종 나옵니다.
선생님들마다 다양한 요령을 알려주십니다만,
보통은 '-게 되다'와 '-게 하다'로 바꿔보았을 때 어느 것이 더 자연스러운지로 판단하면 됩니다.

 

 

 

 

드디어 올리기로 한 모든 콘텐츠를 업데이트 하였네요!(2021-04-19 18:33)
6개 영상과 여기 이 문제풀이가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모두 파이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