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매체 수강생 및 응시생 여러분,

모두 고생 많았습니다.

 

저도 어제 시험시간 3-2 교실에서 풀었는데

제가 풀고 두고 간 답안지로

답을 맞춰본 학생들은 이미 알겠지만

2개 틀렸습니다ㅠㅠ(앗, 아아…)

※ 38번, 41번 틀림

 

교사도 틀린다!

굳이 해명(변명)하자면...

이번주에만 월,수 두 번을

학교업무로 밤을 샌 상태에서

풀어가지고...

(궁색하다!)

 

 

그래도…

언매 사랑하시죠?

 

 

 

 

자, 그러면 이제

언어와매체 6평 문제를 리뷰하겠습니다.

 

 

 

35~36번 문제 리뷰

 

크…!

제가 strong, lawyer 등으로

계속 수업시간에 환기하던

그 내용이

부렀으 부렀으 나와부렀으!

 

다들, 36번 먼저 풀었으리라 생각합니다.

(↙)하나씩 볼까요?

 

ⓐ 앞 + 일

ㅍ ➕ㅣ

ㅁ ㄴㄹ 

⇒④⑤ 탈락.

 

ⓑ 장미 + 꽃

ㅈㅏㅇㅁㅣ➕ㄲㅗ

ㅈㅏㅇㅁㅣ     ㄲㅗ

⇒경계에서는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①탈락. 정답은 ② or ③.

 

ⓒ 넣- + -고

ㄴㅓㅎ➕ㄱ

ㄴㅓ         

∴ 정답② <끝>

 

ⓓ 걱정 (경계가... 없다?)

[출처] https://www.dispatch.co.kr/2152261

 

ⓔ 굳- + -이

ㄱㅜㄷ➕ㅣ

ㄱㅜ     ㅣ

 

【개념 복습: 구개음화】

구개음화는 ㄷ,ㅈ으로 끝난 말 뒤에

ㅣ나 j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올 때,

일어나는 음운 변동입니다.

'굳이'가 [굳지]로 구개음화 된다?

뒷글자 '-이'는 형식형태소다!

(조사는 아니니까 접사)


 

 

이어서 35번 문제 ㄱㄱ

 

선지를 우리가 배운

(세화고 언매수강생으로서의) 상식 선에서

우선 판단해 봅니다.

(↙)

 

【개념 복습: 국어의 음절구조】

- 초성에 1개의 음운(자음)

- 중성에 2개의 음운(모음, 반모음)

- 종성에 1개의 음운(자음)

까지만 소리 낼 수 있다.

 

 

⑤ 상식에 부합 ⇒ O

 

 

영어인(?)들의

spring [ sprɪŋ ] 인식

- 초성: s, p, r

- 중성: ɪ

- 종성: ŋ

한국어인들의

spring [스프링] 인식

'초성'에서 저게 안 되기 때문에

'스프링' 3음절로 인식.

("네.이.마.루"!)

 

"인식의 틀이 제대로 작동한 결과이겠군"

이게 무슨 말이지?

⇒ KEEP

 

 

③ [밤만]을 듣고

'밥만'이 비음화된 것으로 알아듣지 않고

'밤만'으로 알아들었다?

충분히 있을 만한 상황이지.

그런데

'인식의 틀로 작동했겠군.'이

무슨 말이지?

⇒ 역시 이것도 KEEP.

 

 

② '갈 곳'의 ㄹ은 어미 맞지. { 가-  + -ㄹ }  { 곳 }

그리고 'ㄹ'이라는 음운 자체에는  뜻이 없는 것도 맞지.

  O

 

 

① 상식에 부합.  O

 

 

이리하여 ①②⑤는 동그라미 치고

③④에 쓰인

'인식의 틀이 작동'한다는 표현이

어떤 뜻인지만 생각하면서

지문을 빠르게 읽습니다.

 

(읽다가…

3문단 넷째 줄에서 드디어 등장!

[국빱] 부분 설명에서 뜻을 알게 됨.)

 

[국빱]을 들었을 때,

'된소리되기'가 인식의 틀로 작용해서

우리는 된소리가 복원된 '국밥'으로 인식ㄷㄷ

 

그러면 [밤만]에서

'비음화'가 인식의 틀로 작용한다면

복원된 '밥만'으로 인식해야겠지?

 

따라서, 틀린 선지는 ③

 

∴ 정답③ <끝>

덤으로 ④에 동그라미.

 


 

37번 문제 ㄱㄱ

 

오우…

사동사 '알리다'의 객체높임 어휘로

'아뢰다', '사뢰다'를 등장시킬 줄은 몰랐다

(왜냐하면,)

 

나는 중세국어 높임 표현 수업하면서

[ 주체 / 객체 / 상대 ] 싹 다

선어말어미를 통한 높임만으로 수업을 했지..

어휘적 높임을 얘기하진 않았지

(왜냐하면,)

 

그러면

수업 시간에

익히 배운 내용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들만

(↙) 우선 판단해 봅니다.

 

⑤ 선생님이 아이보다 높을 테니

객체 '아이에게'를 높이는 것은 부적절하다.

'여쭤' 사용 부적절 O

 

④ '께'는 부사어 '이모님'을 높이는 것이고

'모시고'는 목적어 '어머님'을 높이는 것이다.

⇒ 서로 다른 대상 O

 

③ 둘 다 객체 '世尊'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 같은 대상 O

 

② 객체 높임을 위한 조사 썼다.

⇒ 문법적 수단 O

 

'보고져' 사이에 선어말어미 넣어서 높임을 실현한 것이지,

특수어휘를 사용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어휘적 수단으로' 틀림

∴ 정답① <끝>

 

※ 만약 '스승니믈'이 밑줄이었으면?

'-님'은 접사.

 

첫 페이지 클리어

3분 ± 1분

 


 

38번 문제

바로 ㄱㄱ

(↙)

 

찾- ➕ -아 ➕ 내- ➕ -ㅆ- ➕ -다

전부 의존형태소

O

∴ 정답⑤ <끝>

 

하지만 나는 그만...

 

 

④ 바람 ➕ 에

'바람'은 자립형태소인데?

X

 

 

③ 둘 다 용언에 어간에 해당하는 어근.

둘 다

따라서 X

 

 

② 체언, 조사만 있다

체언은 ㉠, 조사는 ㉢

 따라서 X

 

 

'우리'는 ㉠이 확실하다.

 따라서 X

'드디어'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드디다' 같은 말의

활용형은 아니니까,

얘도 기본형이 '드디어'인 단어이다.

'우리', '드디어' 모두 ㉠

 

 


 

 

드디어 언어 마지막 문제

39번 ㄱㄱ

(↙)

 

'모두가 바라던 소원이 드디어 이루어졌다.'

이루- ➕ -어지- ➕ -었- ➕ -다

인데.

여기서 '-어지-'를 빼서 문장을 만든다면?

 

'모두가 바라던 소원 드디어 이루었다.'

!!!

 

'이루어졌다'의 '-어지-'는 피동을 위한 거 맞네.

 따라서 X

 

 

 

'많은 사람들이 그 사람을 존경한다'

아주 가능.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사태도 아님.

 따라서 X

 

 

 

'언론에 의해 사건의 전모가 자세히 밝혀졌다.'

밝- ➕ -히- ➕ -어지- ➕ -었- -다

인데.

여기서 '-어지-'를 빼서 문장을 만든다면?

'언론이 사건의 전모를 자세히 밝혔다'

'-어지-'로 피동 만든 것 맞네.

O

∴ 정답③ <끝>

 

 

'형이 내 몫의 일거리를 (나에게) 건넸다.'

에서 피동으로 만든 것이니

'-하-'를 교체하여 피동을 것은 아니다.

 따라서 X

 

 

① 사동문이네.

X

 

 

 

1분 ± 30초

언어 클리어!

 


…인 줄 알았으나

41번 문제 꼬락서니 보소.

41번 문제 먼저 선처리!

(↙)

 

⑤ 

참여도를 높이는 게 중요하다

그 이유는?

많은 국민이 동참해야 효과가 있으니까.

 

ㅇㅇ 관계에 대한 진술 적절하고,

'만큼' 앞에 온 말이

관형어이므로 의존명사인 점도 적절하다.

∴ 정답⑤ <끝>

 

 

④ 추측? X

③ 재촉? X

② 단점? X

① (1번 답으로 체크해서 틀림...)

 

이렇게 해서 진짜 언어 클리어!

 

총 6문항

4분~6분30초


 

< 2페이즈:  40~43번 세트의 잔당 소탕 >

 

42번 문제가 사실

화법과작문의

'청자반응분석' 유형 문제인데

이런 문제들은 다 바로 풀리거든.

 

※ 아래 링크 참조

https://winterfg.tistory.com/238

 

적용학습1강(화법①)

1. 수업결손 학생용 EBSi 와드 [2023 수능특강] 최서희의 화법과 작문 - 01강 [개념] 화법과 작문의 본질과 태도_p.8 - 02강 [개념] 화법의 원리_p.14 - 04강 [적용] 화법 01, 02_p.34 앞 두 강의는 훌훌 넘기면

winterfg.tistory.com

https://winterfg.tistory.com/290

 

화법과작문 6평 리뷰

화법과작문 수강생 및 응시생 여러분, 모두 고생 많았습니다. 저도 어제 시험시간 3-2 교실에서 풀었는데 제가 풀고 두고 간 답안지로 답을 맞춰본 학생들은 이미 알겠지만 1개 틀렸습니다ㅠㅠ (

winterfg.tistory.com

 

너네 가지고 있는 이번 6평 시험지

13쪽에 있는 37번 문제 같은 거야.

지문 읽지 말고 바로 문제를 풀어 봐.

풀리지?

 

그렇게 바로 풀어서

∴ 정답④ <끝>

 

(보충 설명)

'누리집 접근이 어려운 사람들이 있을 텐데?'를

'제도 실현가능성 부정적'은 너무 개복치.

 

[덤] ④번선지 관련 상식

매듭 자르기의 오류 - 나무위키 (namu.wiki)

 

매듭 자르기의 오류 - 나무위키

한국에서 대단히 자주 쓰이는 관용어이다. 원래는 떠나는 측에서 자조적으로 쓰는 표현이었지만, 현대에 와서는 갑이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을에게 윽박지르는 용도로 변질되어 쓰이고 있다. 영

namu.wiki

 

 

이제

(가) 40번  /  (나) 43번

나는 (나) 선택

 

43번 정답 ④. 증가원인 없음.

40번 정답 ②. '나도 가입해 볼까?'는 요약 아님

 

 

2페이즈 잔당 클리어!

3분30초 ± 30초

 


 

<최종장: 44~45번 세트>

지엽적이고, 위치가 특정되는 문제

를 먼저 푸는 게 효율적이다.

 

45번 먼저 풀어서 정답

(제시된 거 다시 보여달라는 것임.)

44번 정답 . 

(나머지도 다 실시간 인터넷 방송의 특성이기는 하니 기억해 두도록)

 

3페이즈 클리어!

1분30초 ± 30초

 

총 시간

9분 ~ 12분30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