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36]
35.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과 (라)에 모두 해당하는 문장으로 적절한 것은?
35번 문제 풀리는 흐름
관형어의 수식이 필수적인 의존명사가 있는가?
① 차기 올림픽 개최지로 서울이 확정되었다.
② 찬수는 내년 학생회장으로 아주 적합하다.
③ 나는 그녀를 만난 데에서 매우 긴장했다.
④ 영철이는 내가 주장하는 바를 잘 이해했다.
⑤ 그가 말한 것에 모두가 진심으로 감동했다.
'주어 / 필수부사어 / 서술어' 문형인가?
(필수만 남겨 보자)
③ 나는 / 긴장했다.
④ 영철이는 / 내가 주장하는 바를 / 이해했다.
⑤ 모두가 / 그가 말한 것에 / 감동했다.
∴ 정답 ⑤. 끝.
=================
36. ㉡에 해당하는 예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6번 문제 풀리는 흐름
훑어 보니 다섯 쌍 모두 같은 단어로군.
(동음이의어 함정은 없군).
필수만 남겨서 문형을 따져 보자
(뒤엣것부터...)
(※ 밑줄 친 것은 부사어임)
ⓔ
민수는 / 페인트를 / 벽에 / 칠하다
광희는 / 벽을 / 페인트로 / 칠하다
(주어 / 목적어 / 부사어 / 서술어)
ⓓ
명호는 / 손해를 / 보았다.
지우는 / 아버지를 / 영웅으로 / 보았다
∴ 정답 ②. 끝.
ⓒ
온기가 / 바닥에 / 돌았다.
이상한 소문이 / 그 마을에 / 돌았다.
(주어 / 부사어 / 서술어)
ⓑ
주은이는 / 그를 / 천재로 / 여긴다.
은희는 / 영수가 / 천재라고 / 여긴다.
??
정답이 흔들린다...
(이럴 때 실전 마인드는?)
ⓐ를 보고 판단한다!
ⓐ
방은 / 어두웠다.
선영이는 / 이곳 지리에 / 어두웠다.
∴ 정답은 확실히 ②. 끝.
[덤]
ⓑ 뒷문장은 고등학교 문법에서는
'가'를 '를' 대신 쓰인 보조사로 본다.
(예)
나는 백두산 천지를 보고 싶다.
나는 백두산 천지가 보고 싶다
(보고 싶은 대상이 다른 게
아니라 백두산 천지임을 강조)
따라서
은희는 / 영수를 / 천재라고 / 여긴다
이므로 앞문장과 문형이 동일하다.
=================
37. <보기>는 받침 ‘ㅎ’과 관련한
음운 변동의 예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7번 문제 풀리는 흐름
하나씩 봐야지 뭐,
(뒤엣것부터...)
ⓔ 놓고[노코], 놓던[노턴], 놓지[노치]
⑤ ⓔ: ‘ㅎ’과 뒤에 오는 ‘ㄱ, ㄷ, ㅈ’이
합쳐져 각각 ‘ㅋ, ㅌ, ㅊ’으로 축약되었다.
왕 동그라미
ⓓ 않아[아나], 많은[마ː는]
④ ⓓ: 음절 말 자음군에서
‘ㅎ’이 탈락되고,
‘ㅇ’이 ‘ㄴ’으로 교체되었다.
뒷부분에 강한 함정의 냄새가 난다.
ㅏㄴㅎㅏ
[ㅏㄴㅏ]
ㅁㅏㄴㅎㅡㄴ
[ㅁㅏㄴㅡㄴㄴ]
'ㅎ' 탈락만 일어났다.
정답 ④. 확실하게.
(정말 확실하잖아.
이럴 때 실전 마인드는?)
③,②,①을 지금 보지 않고
다음 문제 계속 GoGo한다!
[덤]
ⓒ 놓는[논는], 좋네[존ː네]
③ ⓒ: ‘ㅎ’이 ‘ㄷ’으로 교체된 후, ‘ㄴ’ 앞에서 ‘ㄷ’이 ‘ㄴ’으로 교체되었다.
ㄴㅗㅎㄴㅡㄴ / ㅈㅗㅎㄴㅔ
ㄴㅗㄷㄴㅡㄴ / ㅈㅗㄷㄴㅔ
ㄴㅗㄴㄴㅡㄴ / ㅈㅗㄴㄴㅔ
ⓑ 앓는[알른], 끓나[끌라]
② ⓑ: 음절 말 자음군에서 ‘ㅎ’이 탈락되고, ‘ㄹ’ 뒤에서 ‘ㄴ’이 ‘ㄹ’로 교체되었다.
ㅏㄹㅎㄴㅡㄴ / ㄲㅡㄹㅎㄴㅏ
ㅏㄹ ㄴㅡㄴ / ㄲㅡㄹ ㄴㅏ
ㅏㄹㄹㅡㄴ / ㄲㅡㄹㄹㅏ
ⓐ 놓은[노은], 쌓아[싸아]
① ⓐ: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앞에서 탈락되었다.
왕 동그라미
(이 정도는 눈으로 볼 수 있지?)
=================
38. <보기 1>의 ⓐ∼ⓒ에 대응하는 것을
<보기 2>의 ㉠∼㉢과 바르게 연결한 것은?
38번 문제 풀리는 흐름
ⓐ∼ⓒ가 뭔지 <보기 1>을 읽어 보자.
ⓐ담화 장면을 구성하는 화자, 청자, 시간, 장소,
사물 등의 요소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언어적 맥락에서 언급되는 대상을 가리키는 표현을
대용이라고 한다.
대용에는 ⓑ앞에 나온 것을 다시 가리키는 것도 있고,
ⓒ뒤에 나올 것을 미리 가리키는 것도 있다.
그렇지
지시표현과 대용표현, 구분 가능한 개념이지.
"배가 고픈데 저녁 먹고 다시 연습할까?"
"그래. ㉠그런 말도 있잖아.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전단지를 보며) ㉡이거 봐. 식당이 새로
생겼나 봐. 여기서 시켜 먹을까?"
"㉢거기 맛있겠다. 그렇게 하자."
각 나왔다.
㉠은 뒤에 나올 것 미리 가리키는 말 ⓒ.
㉡은 ⓐ, 지시표현.
㉢은 남은 하나, ⓑ.
정답 ④
ⓐ-㉡ , ⓑ-㉢, ⓒ-㉠
=================
39. <보기>의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39번 문제 풀리는 흐름
선택지를 보면 각각 양자택일이다.
바로 가자.
제일 쉬워 보이는 ㉡은
둘 중에 당연히 'ㅡ'를 쓴
정답 ① or ④
여기서 나머지도 바로 판단해서
(㉢, ㉠ 순으로 판단하겠지)
정답 ① 바로 낼 수 있고
살짝 불안하면 <보기> 읽고
판단해서 정답 ① 내도 된다.
=================
[40~44] (매체는 아래 화면 & 유튜브링크 참조)
=================
45. <보기>의 ㉠과 ㉡에 해당하는 예만을
(가)의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5번 문제 풀리는 흐름
㉠, ㉡만 읽어 봤다.
㉠관형사가 관형어로 쓰이는 경우
㉡용언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가
결합하여 관형어로 쓰이는 경우
ⓐ~ⓔ의 기본형이 뭔지를 생각한다.
(불변어인지 가변어인지를 본다)
㉠
여러 - 여러
㉡
심각한 - 심각하다모인 - 모이다
정답 ②
[덤]
어업 방식: 체언 단독
식문화의 문제점: 체언+관형격조사
- 실전 1회 끝 -
2023 수능완성 국어 실전 1~5회 언어와매체 풀이 합본(화질1440p) - YouTube
'[fin.] 2022 언어와매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수능완성 실전 3회 35~45번 문제 풀이(언어와매체) (0) | 2022.09.05 |
---|---|
2023 수능완성 실전 2회 35~45번 문제 풀이(언어와매체) (3) | 2022.08.30 |
언어와매체 6평 리뷰 (0) | 2022.06.10 |
언어와매체 6평대비 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 (0) | 2022.06.09 |
진도 계획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