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36]
35.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3점]
최근에 수능특강 자음모음체계 활성화했다.
→ 바로 ⑤번 선지부터
자음모음체계 마스터했지만 오래 전이다..
→ 어쩔 수 없음. 비문학 풀듯이.
35번 문제 풀리는 흐름
⑤단모음의 다른 발음을 허용하는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국어의 단모음 개수는 7개로 줄어들 수 있다.
→ 기억 나나? 글자가 없는 발음이 있다며 알려준 것 (수능특강 12쪽 날개 참조)
단모음이 10개지만, 'ㅚ' 'ㅟ' 이중모음으로 발음 가능.
따라서 이 2개 빠지면 단모음 8개.
따라서
∴ 정답 ⑤. 끝.
(나중에 검토할 때)
④ 우리말에서 구별하여 발음할 수 있는 단모음의
개수는 최대 10개이다. O
③ 어떤 방언에서는 후설 모음에서
평순 고모음과 평순 중모음이 구분되지 않는다.
'ㅡ' 와 'ㅓ'
지문에서 얘네 있는 부분 scan
마지막 문단에 있네. 읽어보니… O
② 'ㅐ'를 발음할 때는 'ㅣ'를 발ㅇ므할 때보다
입이 더 벌어지게 된다. O
① 'ㅗ'는 발음할 때 'ㅏ'와 혀의 압뒤 위치는 같고
입술 모양과 혀의 최고점의 위아래 위치는 다르다.
O
(최종 검토의 결과도 여전히) 정답 ⑤. 끝.
=================
36. <보기>의 밑줄 친 부분을 표준발음법에 따라
발음할 때, 가능한 발음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6번 문제 풀리는 흐름
쉬워(단순해) 보이는 것부터 처리
ㄱ, ㄴ부터 가즈아
ㄱ: 벽지의 무늬 [무늬], [무니]
ㄴ: 대화의 예의 [예의], [예이]
∴ 정답 ①. 끝.
올해 풀어본 지문세트 언어 문제 중에
최단시간인 듯. 20초 컷.
[환기] 정규수업에서 다룬 포인트들
(+개인적으로 해온 언어 개념학습)
수능 전까지 충분히 활성화해야 한다.
막판에 한꺼번에 활성화하려고 하면
머릿속에 착 안 붙으니, 이렇게 틈틈이!
=================
37. ㉠~㉢의 품사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수수한 옷을 입은 학생 ㉡세 명이 나와서
㉢편안하게 노래를 불렀다.
37번 문제 풀리는 흐름…같은 거 필요 없고
형용사, 수관형사, 형용사, 정답 ①. 끝.
=================
38. <보기>의 ㄱ~ㄹ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8번 문제 풀리는 흐름
뭐… 하나씩 풀어야지ㅠ (앞 3문제 30초컷 하면서
확보한 시간, 여기서 다 까먹겠군…)
ㄹ,ㄷ,ㄴ,ㄱ 하나씩 보면서
④,③,②,① 순으로 보고 틀린 거 있으면 그게 답,
없으면 답은 ⑤(단, 이 경우 선지에 푼 표시는 안 함)
ㄹ. 민수와 영희가 사귄다는 소문이 떠돈다.
④ㄹ에서 안긴문장은 안은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였다.
민수와 영희가 사귄다 + {그런} 소문이 떠돈다.
관형어 O
ㄷ. 이 문제는 내가 풀기에는 너무 어렵다.
③ㄷ에서 안긴문장의 주어는 안은문장의 주어와 다르다.
내가 문제를 풀다 + 이 문제는 {그러기}에는 너무 어렵다
그러네, 주어가 다르네(나 ≠ 이 문제) O
ㄴ.어머니는 자식이 잘되기만을 바라신다.
②ㄴ에서 안긴문장은 안은문장에서 목적어로 쓰였다.
굳이 분해 안 해도 O
자식이 잘되다. + 어머니는 {그러기}를 바라신다.
ㄱ.나는 그 의자에서 조는 동생을 깨웠다.
①ㄱ에서 안긴문장의 주어는 안은문장의 주어와 같다.
동생이 그 의자에서 졸다 + 나는 {그런} 동생을 깨웠다.
주어가 다르네?
∴ 정답 ① 끝.
=================
39. <보기>에 나타난
중세국어의 특징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9번 문제 풀리는 흐름
⑤O - ④O - ③O - ②!X - ①
∴ 정답 ② 끝.
객체높임은 그 선어말 어미 시리즈로만 실현됨.
=================
[40~44] (매체는 아래 화면 & 유튜브링크 참조)
=================
45. <보기>를 고려할 때, 밑줄 친 부분의 쓰임이
(나)의 Ⓐ에 쓰인 '-되-'의 쓰임과 동일한 것은?
【… 전국적으로 채식 급식이 Ⓐ확대되면서 …】
45번 문제 풀리는 흐름
<보기>에서 어떻게 쓰임을 구분하는지 도출한다
- 단어 '되다'냐, 접미사 '되댜'냐
- 단어의(파생어의) 품사가 무엇이냐
- 명사 뒤에 붙어서 동사를 만다는 것인가?
'확대되다'는 명사 '확대' 뒤에 접미사 '-되다'가 붙어
동사가 된 경우
①⑤는 동사 '되다'이므로 탈락
②③은 형용사가 된 것이므로 탈락
정답 ④ 끝.
- 실전 3회 끝 -
https://youtu.be/0flRUvXCimA?t=2085
'[fin.] 2022 언어와매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수능완성 실전 5회 35~45번 문제 풀이(언어와매체) (0) | 2022.10.03 |
---|---|
2023 수능완성 실전 4회 35~45번 문제 풀이(언어와매체) (0) | 2022.10.03 |
2023 수능완성 실전 2회 35~45번 문제 풀이(언어와매체) (3) | 2022.08.30 |
2023 수능완성 실전 1회 35~45번 문제 풀이(언어와매체) (0) | 2022.08.18 |
언어와매체 6평 리뷰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