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번 문제 2,4번 선지 삭제(=3지선다 문제로 푸세요), 8번 문제 삭제(=풀지 마세요), 9번 문제 1,4번 선지 수정, 13번 5번 선지 오탈자 정정, 15번 ㄱ 오탈자 정정(2019. 4. 19, 19:19)
※ 5, 7~11번 답 정정(2019. 4. 15, 11:35)
【자습서 + 소단원 평가 + 평가문제집】
1. 위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토속적 소재를 사용해 향토적 정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② 회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그리움의 정서를 구체화하고 있다.
③ 대비되는 성격의 공간을 통해 이상향에 대한 동경을 드러내고 있다.
④ 현재형 시제를 사용해 화자 자신의 처지를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다.
⑤ 공감각적 심상을 사용해 시적 대상에 대한 안쓰러움을 표현하고 있다.
2. 위 시 전체의 감상을 바탕으로 한 화자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자는 현재 좁은 방에 머물며 외로워하고 있다.
③ 화자는 자신이 처한 현실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려 하고 있다.
⑤ 화자는 절대자가 부정적인 것은 주지 않고 긍정적인 것만 주셨다고 판단하고 있다.
3. 위 시 전체의 감상을 바탕으로 한 시구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지치운 불빛'은 화자의 외롭고 쓸쓸한 심정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② '다 낡은 무명샤쓰'는 화자가 가난하게 살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③ '따끈한 감주'는 괴로운 화자에게 잠시나마 위안을 줄 수 있는 향토적 소재이다.
④ '차디찬 물'은 어머니에 대해 화자가 안타까움을 느끼는 이유이다.
⑤ '나즈막한 집'은 '사랑하는 사람'이 자신과 비슷한 처지일 것이라고 여긴 화자의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4. '흰 바람벽'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자의 내면 의식을 비추는 매개체이다.
② 추억의 인물의 모습이 그려지는 공간이다.
③ 화자의 현실 극복 의지를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④ 화자의 쓸쓸하고 괴로운 처지를 환기하는 공간이다.
⑤ 화자가 꿈꾸는 밝은 미래를 영상화하는 역할을 한다.
5. 위 작품의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자신의 내면의 풍경을 바라보고 있다.
② 자신과 관계된 사람을 중심으로 삶을 성찰하고 있다.
③ 어려운 현실을 수용하며 극복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④ 고단한 삶 속에서도 고결함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⑤ 대상에 투사된 자신의 삶을 바라보며 미래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6. 화자의 가난한 처지를 알 수 있는 시구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좁다란 방
② 어두운 그림자
③ 따끈한 감주
④ 무이며 배추
⑤ 나지막한 집
7. <보기>에서 '흰 바람벽'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시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 윤동주, ‘자화상’
① 산모퉁이
② 우물
③ 바람
④ 가을
⑤ 사나이
8. (삭제)
9. 위 작품을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자는 자신의 삶을 외롭게 느끼고 있어.
② 화자는 대상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주로 보여주고 있어.
③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적 상황을 생생하게 형상화하고 있어.
④ 공간이 이동함에 따라 삶에 대한 인식이 변화해 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⑤ 구체적인 장면 속에 있는 인물을 통해 그리움에 젖어드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10. 위 작품을 <보기>와 비교하여 읽을 때 ㉠에 나열된 시어들의 공통적 의미와 서로 의미가 통하는 시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시를 믿고 어떻게 살아가나
서른 먹은 사내가 하나 잠을 못 잔다.
먼 기적 소리 처마를 스쳐가고
잠들은 아내와 어린것의 베갯맡에 밤눈이 내려 쌓이나 보다.
무수한 손에 뺨을 얻어맞으며
항시 곤두박질해 온 생활의 노래
지나는 돌팔매에도 이제는 피곤하다.
먹고 산다는 것
너는 언제까지 나를 쫓아오느냐.
등불을 켜고 일어나 앉는다.
담배를 피워 문다.
쓸쓸한 것이 오장(五臟)을 씻어 내린다.
노신이여
이런 밤이면 그대가 생각난다.
온 세계가 눈물에 젖어 있는 밤
상해 호마로 어느 뒷골목에서
쓸쓸히 앉아 지키던 등불
등불이 나에게 속삭거린다.
여기 하나의 상심한 사람이 있다.
여기 하나의 굳세게 살아온 인생이 있다.
- 김광균, ‘노신’
① 시
② 어린것
③ 돌팔매
④ 담배
⑤ 노신
11. 위 작품에서 '흰 바람벽'에 투영된 것들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자의 어두운 그림자
② 여러 가지 외로운 생각들
③ 춥고 가난한 어머니의 모습
④ 가난한 결혼생활로 고생했던 아내
⑤ 가난하고 외롭고 쓸쓸한 삶에 대한 인식
12. 위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과거 회상을 통해 현재의 삶을 반성하고 있다.
②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 인한 절망감이 표출되어 있다.
③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적 화자의 정서를 형상화하고 있다.
④ 냉소적인 어조를 통해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⑤ 현실적 고뇌를 종교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13. 위 시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현재형 시제로 화자의 현재 상황을 부각하고 있다.
② 동일한 시구를 반복하여 시적 대상을 강조하고 있다.
③ 도치법으로 시상을 종결하여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④ 유사한 속성의 소재들을 나열하여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⑤ 역설적 발상을 통해 모순적인 상황에 대한 자조적인 자세를 드러내고 있다.
14. [A]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절대적 존재에 의지하려 하고 있다.
② 고결한 삶의 태도를 지키려 하고 있다.
③ 현실에 대해 관조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④ 부정적 현실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고 있다.
⑤ 자신의 삶을 숙명으로 여기고 받아들이고 있다.
15. 다음은 윗글을 영상시로 제작하기 위한 계획서이다. 이에 대한 촬영 계획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배경]
ㄱ. 희미한 전등이 비추는 좁고 어두운 방안
[인물]
ㄴ. 주인공
ㄷ. 어머니
ㄹ. 젊은 여인
① ㄱ은 전등에 비친 화자의 뒷모습이 벽에 드리우도록 촬영한다.
② ㄴ은 생각에 잠긴 인물의 모습을 촬영하여 다른 장면들과 오버랩되도록 편집한다.
③ ㄷ은 푸른색이 두드러지는 영상과 입김 소리의 음향을 사용하여 인물의 상황을 부각한다.
④ ㄹ은 물소리, 바람 소리를 음향 효과로 사용하여 가난을 이기기 위해 힘겹게 노력하는 가족의 모습을 드러낸다.
⑤ ㄷ과 ㄹ은 각각 촬영하여 병치되는 화면으로 편집한다.
16. 다음 시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어두운 그림자: 생활에 지친 화자의 모습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② 내 사랑하는 사람: 화자가 그리워하는 대상으로 화자의 그리움을 심화한다.
③ 내 쓸쓸한 얼굴: 화자의 정서가 반영된 것으로 화자의 현재 상황을 표상한다.
④ 이런 글자들: 화자의 처지를 위로하는 말로 화자의 태도 변화를 드러낸다.
⑤ '프랑시쓰 쨈': 화자와 대비대는 삶을 살았던 인물로 화자가 닮고 싶어 하는 인물이다.
정답
1.③ 2.⑤ 3.⑤ 4.⑤
5.⑤ 6.① 7.② 8.⑤ 9.④ 10.⑤ 11.④
12.③ 13.⑤ 14.⑤ 15.④ 16.⑤
──────────
【선부 사화상 - 김용준】
갈래: 현대수필
성격: 성찰적, 주관적
제재: 선부라는 호를 얻게 된 경험
주제: 선부라는 호를 얻은 경험과 이에 관한 글쓴이의 성찰
Trivia
수필 문학의 특성에 맞게 글쓴이의 개서이 잘 드러남
외모에 대한 묘사를 바탕으로 자기 성찰의 성격이 나타남
──────────
【백석의 생몰연도가 ~1963에서 ~1996으로 수정된 것과 관련한 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308&aid=0000008325
'[fin.] 2019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보강 영상 1~2 (0) | 2019.03.30 |
---|---|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학습자료 (0) | 2019.03.30 |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읽기자료 (0) | 2019.03.19 |
두근두근 내 인생 학습자료 (0) | 2019.03.19 |
두근두근 내 인생 읽기자료 (0) | 2019.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