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업데이트 내역
(2021-03-19 06:50) 복습용 학습지 링크 탑재 완료.
(2021-03-22 03:38) 전체 문제풀이 탑재 완료.
★세화고 재학생 복습용 학습지★ ☞ m.site.naver.com/0LJ2C
적용학습 02강 문제풀이(54~56쪽)
※ 총 5문제(적정 시간: 3분)
■■■1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30초)
1) 발문을 봤다.
- '<보기>의 조건에 만족하는 말, 흠…'
2) 선지에 어떤 놈들이 있는지 스캔했다.
- 난로, 국민, 밥물, 만능, 꽃눈
3) <보기>의 조건을 봤다.
- 비음화
- ㉠ 입술 평평
- ㉡ 입술 둥글
4) 제일 쉬워 보이는 '㉡ 입술 둥글'로 걸렀다
- '난로', '밥물', '꽃눈' 생존.
5) '㉠ 입술 평평'으로 걸렀다.
- '꽃눈' 탈락
6) 비음화가 일어나는 것은?
- ㄴㅏㄴㄹㅗ [ㄴㅏㄹㄹㅗ]
- ㅂㅏㅂㅁㅜㄹ [ㅂㅏㅁㅁㅜㄹ]
정답은 밥물, ③
▼해설 ▼
①
(前) ㄴㅏㄴㄹㅗ
(後) ㄴㅏㄹㄹㅗ
☞ ㄴ이 ㄹ따라 유음화
②
(前) ㄱㅜㄱㅁㅣㄴ
(後) ㄱㅜㅇㅁㅣㄴ
☞ ㄱ이 ㅁ따라 비음화
③
(前) ㅂㅏㅂㅁㅜㄹ
(後) ㅂㅏㅁㅁㅜㄹ
☞ ㅂ이 ㅁ따라 비음화
④
(前) ㅁㅏㄴㄴㅡㅇ
(後) ㅁㅏㄴㄴㅡㅇ
☞ null.
⑤
(前) ㄲㅗㅊㄴㅜㄴ
(後) ㄲㅗㄴㄴㅜㄴ
☞ ㄷ(←ㅊ)이 ㄴ따라 비음화
첫째 조건(받침에 있는 종성이 비음화 되는 것) 충족하는 선지는 ②③입니다.
둘째 조건(첫 음절 평순모음, 뒷 음절 원순 모음) 충족하는 선지는 ①③입니다. ※ (나) 참조
따라서 정답은 ③입니다.
■■■2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20초)
1) 발문을 봤다.
-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보기>를 슬쩍 봤다.
- 다 아는 얘기 써놓은 것인 듯? 일단 SKIP!
3) 선지를 하나씩 판단한다.
① '볼' '불' '발'
- 뜻 구별? YES!
- 중성 'ㅗ' 'ㅜ' 'ㅏ'만 다른 음운? YES!
② '불' '풀'
- 뜻 구별? YES!
- 초성 'ㅂ' 'ㅍ'만 다른 음운? YES!
③ '강' '감'
- 뜻 구별? YES!
- 종성 'ㅇ' 'ㅁ'만 다른 음운? YES!
④ '우리' '뿌리'
- 뜻 구별? YES!
- 첫음절 초성 'ㅇ' 'ㅃ'만 다른 음운?
※ 멍~게소리여! '우리'는 첫음절 초성자리에 음운이 없음!
정답은 ④.
▼해설 ▼
⑤
'국위' ㄱㅜㄱㅟ
'국어' ㄱㅜㄱㅓ
뜻이 구별되며, 'ㅟ'와 'ㅓ'만 다른 음운이므로 선지는 맞는 소리입니다.
<보기> 내용 몇 가지 짚어보기(밑줄 좍)
음운이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소리 단위.
한국어에서 음운인 것? 자음, 모음, 반모음, 장단음*
*는 비분절 음운이며, 장음인 것은 발음표기에서 ː를 뒤에 씁니다.
어떤 두 말이 음운 요소 하나만 차이나는데, 그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뜻의 말이 되는 경우 걔네를 '최소대립쌍'이라고 합니다.
■■■3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40초)
1) 발문을 봤다.
-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보기>를 슬쩍 봤다.
- 다 아는 얘기 써놓은 것인 듯? 일단 SKIP!
3) 선지 상태를 스캔했다.
- 주어진 예시가 탈락인지 축약인지만 보면 되는 거네!
3) 선지를 하나씩 판단한다.
①
(前) ㅁㅓㄹ ㄴㅣ
(後) ㅁㅓ ㄴㅣ
☞ ㄹ탈락
②
(前) ㄲㅏㅁㅏㅎ ㅈㅣ
(後) ㄲㅏㅁㅏㅊㅣ
☞ ㅎㅈ이 ㅊ으로 축약
③
(前) ㄱㅏ ㅏㅅㅓ
(後) ㄱㅏㅅㅓ
☞ ㅏ탈락
④
(前) ㅏㄴㅎ ㄱㅗ
(後) ㅏㄴㅋㅗ
☞ ㅎㄱ이 ㅋ으로 축약
⑤
(前) ㅈㅏㅁㄱㅡ ㅏ
(後) ㅈㅏㅁㄱㅏ
☞ ㅡ탈락. 읭?
정답은 ⑤.
▼해설 ▼
축약은 띄어 읽게 되는 경우가 아닌 한,
대부분 최우선으로 적용되는 음운 현상입니다.
따라서 ㄱ,ㄷ,ㅂ,ㅈ와 ㅎ이 만나고 있으면
걔네가 ㅋ,ㅌ,ㅍ,ㅊ부터 되고 나머지 음운 현상을 따지면 됩니다.
자,
지금까지 세 문제를 풀이했는데, 잠깐 중간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단일문항의 문법문제를 풀 때는, 인강에서 해설해주는 것처럼
①번 선지를 모든 면에서 살펴보고,
그 다음 ②번 선지를 모든 면에서 살펴보고,
그 다음 ③번 선지를 모든 면에서 살펴보고,
그 다음 ④번 선지를 모든 면에서 살펴보고, …
이런 식으로 푸는 것은 어리석습니다.
게다가 <보기>부터 마치 비문학 지문 대하듯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며 샅샅이 읽는 것도 어리석습니다.
문법문제 풀 떼는,
발문과 선지 상태를 살핀 다음
- 분명하게 파악되는 조건
- 제일 쉬워보이는(간단한) 조건
부터 하나씩 적용하며 '서바이벌 느낌'으로 푸는 것이 훨씬 경제적입니다.
■■■4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30초)
1) 발문을 봤다.
- ㉠,㉡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을 살피고 ㉠관련 선지부터 판단하기로 했다.
솟고[솓꼬]
(前) ㅅㅗㅅ ㄱㅗ
(後) ㅅㅗㄷㄲㅗ
☞ ㄷ(←ㅅ)의 영향으로 ㄱ된소리됨.
꺾다[꺽따]
(前) ㄲㅓㄲ ㄷㅏ
(後) ㄲㅓㄱㄸㅏ
☞ ㄱ(←ㄲ)의 영향으로 ㄷ된소리됨.
① 교체 두 번 맞네. 끝소리 규칙 한 번. 된소리되기 한 번
③ 놓고[노코]
(前) ㄴㅗㅎㄱㅗ
(後) ㄴㅗㅋㅗ
☞ ㅎㄱ이 ㅋ으로 축약. 읭?
정답 ③.
▼해설 ▼
㉠관련 선지 남은 것부터 마저 봅시다.
⑤
'종성에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이 제한되는 음운 변동'은 두 가지입니다.
- 둘 이상의 자음을 동시에 종성에서 발음할 수 없다. =자음군단순화(1개만 남기고 나머지 탈락)
- 7종성 외 자음을 종성에서 발음할 수 없다. =끝소리규칙(7종성으로 교체)
일단 ㉠은 해당됩니다.
이제 ㉡을 살펴봅시다.
훑는[훌른]
(前) ㅎㅜㄹㅌ ㄴㅡㄴ
(後) ㅎㅜㄹ ㄹㅡㄴ
☞ ㄹ(←ㄾ)의 영향으로 ㄴ유음화.
잃는[일른]
(前) ㅣㄹㅎ ㄴㅡㄴ
(後) ㅣㄹ ㄹㅡㄴ
☞ ㄹ(←ㅀ)의 영향으로 ㄴ유음화.
② 탈락 한 번(자음군 단순화), 교체 한 번(유음화) 일어났습니다. 적절.
④ 핥는[할른]
(前) ㅎㅏㄹㅌ ㄴㅡㄴ
(後) ㅎㅏㄹ ㄹㅡㄴ
☞ ㄹ(←ㄾ)의 영향으로 ㄴ유음화. 동일한 유형입니다. 적절.
끝으로 ⑤.
㉡에서 일어나는 자음군단순화가
'종성에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이 제한되는 음운 변동'에 해당합니다.
결국 ③ 빼고 다 이상 없습니다.
■■■5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50초)
1) 발문을 봤다.
-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선지를 훑었습니다.
- 에헤이, ⓐ~ⓔ와 ㉠~㉤이 뭔지 알아야 풀 수 있겠네. <보기> 읽어 보자.
3) <보기> 읽으며 ㉠~㉤이 뭘 의미하는지 파악했다.
㉠ 끝소리규칙 (교체)
㉡ 연음 (null)
㉢ 구개음화 (교체)
㉣ 비음화 (교체)
㉤ ㄴ첨가 (첨가)
4) 이제 요놈들(㉠~㉤)이 ⓐ~ⓔ에 어떻게 있는지 파악하면 되는 거군. 제일 간단한 ㉡(null)부터 걸러보자.
ⓐ
(前) ㅂㅏㅌ ㅣㄹㅏㅇ
(後) ㅂㅏㅊㅣㄹㅏㅇ
☞ ㅌ→ㅊ
ⓑ
(前) ㄴㅗㄴ ㅣㄹㅏㅇ
(後) ㄴㅗㄴㅣㄹㅏㅇ
☞ null
ⓒ
(前) ㅂㅏㅌ ㅣㄹㅏㅇ
(後) ㅂㅏㄴㄴㅣㄹㅏㅇ
☞ (흠…)
ⓓ
(前) ㄴㅗㄴ ㅣㄹㅏㅇ
(後) ㄴㅗㄴㄴㅣㄹㅏㅇ
☞ (흠…)
ⓔ
(前) ㄲㅗㅊ ㅣㄹㅏㅇ
(後) ㄲㅗㅊㅣㄹㅏㅇ
☞ null
- ②, ⑤번 선지 적절함.
- ④번 선지 절대 적절할 수가 없음. 정답 ④.
▼해설 ▼
우선
ⓐ~ⓔ에 쓰인 두 가지 '이랑'을 구분해 봅시다.
이랑1 [명사] 논밭에서 도톰하게 솟은 부분. '고랑'(논밭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 ≒골)의 반대말.
※ 상식 - 씨앗은 움푹 들어간 곳 말고 볼록 올라온 곳에 심는다.
이랑2 [조사] =and.
자,
이랑1은 실질형태소이고, 이랑2는 형식형태소입니다.
그리고 [학습자료1]에서 형식형태소가 환기된 조항은 ㉡(연음), ㉢(구개음화)입니다.
㉡의 '… 조사나 어미, 접미사 …'
㉢의 '… 조사나 접미사 …'
에다 밑줄 긋고 "형식형태소"라고 한 번 필기해 볼까요?
자,
이제 최종 작업을 해 봅시다
문맥상 ⓐⓑⓔ의 '이랑'은 이랑2입니다.
ⓐ는 받침이 ㅌ이어서 구개음화가 일어나고, 나머지 ⓑⓔ는 그냥 연음되고 끝입니다.
따라서 ①,②,⑤번 선지는 다 적절합니다.
'ⓓ논이랑'은
(前) ㄴㅗㄴ ㅣㄹㅏㅇ
(後) ㄴㅗㄴㄴㅣㄹㅏㅇ
☞ ㄴ첨가.
복합어이고(논+이랑) 뒷말이 ㅣ로 시작하는 경우인데,
발음에서 [ㄴ]이 첨가되었습니다.
㉤ 하나만으로 깔끔하게 설명 가능합니다.
실질형태소 2개로 이뤄진 복합어이니 ㉡은 애초에 해당될 수가 없기도 하고요. 명쾌.
'ⓒ밭이랑'은
(前) ㅂㅏㅌ ㅣㄹㅏㅇ
(後) ㅂㅏㄴㄴㅣㄹㅏㅇ
☞ 끝소리규칙(ㅌ→ㄷ)
☞ ㄴ첨가
☞ 첨가된 ㄴ따라 ㄷ이 비음화(ㄷ→ㄴ)
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타당해 보입니다.
실질형태소끼리 결합할 때는(연음, 구개음화의 조건이 아닌 한 대부분)
각각의 형태소 내부에서 먼저 일어날 것 다 일어나게 한 후(ㅌ→ㄷ),
결합 과정에서의 음운 변동을 생각하면 됩니다.
이걸로 적용학습 01강 복습을 마칩니다.
복습하면서 12~13쪽에 필기한 대원칙 1~3을 되새겼길 바랍니다. 그럼 모두 파이팅!
적용학습 01강 문제풀이(54~56쪽)
※ 총 5문제(적정 시간: --분--초)
■■■1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55초)
1) 발문을 봤다.
"… 음운변동 … 적절한 것은?"
2) 바로 하나씩 확인
㉠
(前) ㄷㅏㄷㅎㅣㄷㅏ
(後) ㄷㅏㅊㅣㄷㅏ
☞ ㄷㅎ이 ㅊ으로 축약
- ① X. 교체 없음.
- ③ X. 음운 변동 한 번.
- ④ O. 축약 맞음.
- ⑤ O. 7개→6개로 줆.
㉡
(前) ㄱㅓㅌ ㅁㅗjㅏㅇ
(後) ㄱㅓㄴㅁㅗjㅏㅇ
☞ ㄷ(←ㅌ)이 ㅁ따라 비음화
- ② X. ㄴ≠ㅁ.
- ⑤ X. 8개→8개 그대로.
㉢
(前) ㅎㅡㄹㄱ ㅎwㅏㄷㅓㄱ
(後) ㅎㅡㅋwㅏㄷㅓㄱ
☞ ㄱ(←ㄺ)ㅎ이 ㅋ으로 축약
- ④ O. 둘 다 축약 있음.
정답 ④
▼해설 ▼
(풀리는 흐름에서 충분히 다루어졌으므로 별도 해설 없음)
■■■2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50초)
1) 발문과 <보기>를 봤다.
"… [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적절한 것은?"
- 순행동화X, 완전동화O인 것을 주어진 5단어 중에 골라야 함.
2) 쉬워 보이는 것(순행동화)부터 확인했다.
- [ ㄷㅏㄹㄹㅣㅁ ] O
- [ ㄱㅜㅇㅁㅜㄹ ] X
- [ ㅈㅏㅁㅁㅜ ] O
- [ ㅈㅣㄹㄹㅣ ] O
- [ ㅋㅏㄹㄹㅏㄹ ] O
3) 나머지 넷 중 순행동화인 것(=뒤가 바뀐 것)을 걸렀다.
(前) ㄷㅏㄹㄴㅣㅁ
(後) ㄷㅏㄹㄹㅣㅁ
☞ 순행 O → 거름
(前) ㅈㅏㅂㅁㅜ
(後) ㅈㅏㅁㅁㅜ
☞ 순행 X
(前) ㅈㅣㄴㄹㅣ
(後) ㅈㅣㄹㄹㅣ
☞ 순행 X
(前) ㅋㅏㄹㄴㅏㄹ
(後) ㅋㅏㄹㄹㅏㄹ
☞ 순행 O → 거름
4) 최종 판단
- 남은 것은 '잡무', '진리'
- 정답 ④
▼해설 ▼
(눈썰미 팁) 올해 수능 국어 선택과목에서는 장담하건데, 이 문제처럼 '아니요'로 인해 뒤집어서 판단해야 할 문젝자 나올 겁니다. 이 문제는 꼭 책갈피로 표시해 두었다가, 학력평가/모의수능/실제수능 당일 아침마다 꼭 보면서 되새기고 시험을 치르기 바랍니다.
■■■3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15초)
1) 발문을 읽고, <보기>와 선지를 힐끗 봤다.
"【음절의 끝】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으로 …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보기>가 특별히 밑줄 같은 게 없는 설명 글이다.
- 선지는 어떤 변동이 일어났는지를 말하고 있다.
2) 선지 바로 하나씩 확인(⑤번 선지부터)
⑤
(前) ㅣ【ㅆ】 ㄷㅏ
(後) ㅣ【ㄷ】ㄸㅏ
☞ 받침ㄷ(←ㅆ) 영향으로 뒤 ㄷ이 된소리됨.
- 교체. 응?
정답 ⑤. 끝.
▼해설 ▼
(눈썰미 팁) 통계적으로, 역대 수능 문법 문제는 ⑤번 선지부터 살피는 것이 ①번 선지부터 살피는 것보다 이득이었습니다. 따라서 앞서 본 1~2번 문제와 달리, 이 문제처럼 각 선지가 독립적인 문제는 ⑤번 선지부터 보길 권합니다.
아래는 나머지 선지에 대한 풀이입니다.(장음 표시는 생략함)
①
(前) ㄷㅏ【ㅁ】 ㄷㅏ
(後) ㄷㅏ【ㅁ】ㄸㅏ
☞ ㄷ→ㄸ 교체
- 음절 끝은 그대로.
②
(前) ㅓ【ㅂㅅ】 ㄷㅏ
(後) ㅓ【ㅂ】ㄸㅏ
☞ ㅂ(←ㅄ)의 영향으로 뒤 ㄷ이 된소리됨.
- 음절 끝은 탈락만.
③
(前) ㅗ【ㄹㅁ】 ㄷㅏ
(後) ㅗ【ㅁ】ㄸㅏ
☞ ㅁ(←ㄻ)의 영향으로 뒤 ㄷ이 된소리됨.
- 음절 끝은 탈락만.
④
(前) ㄱㅏ【ㅌ】 ㄷㅏ
(後) ㄱㅏ【ㄷ】ㄸㅏ
☞ ㄷ(←ㅌ)의 영향으로 뒤 ㄷ이 된소리됨.
- 음절 끝은 교체만.
(눈썰미 팁) 아마 틀리거나 헤맸다면, 발문에 있는 '음절의 끝에서'를 놓쳤기 때문일 겁니다. 이 문제 굉장히 좋은 문제입니다. 수능 당일에도 또 틀리거나 헤매지 않게 해주는 백신이라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앞서 본 2번 문제와 함께, 꼭 시험 당일 아침에 다시 보며 유의하기로 되새기는 것이 좋습니다.
■■■4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45초)
1) 발문과 <보기>를 봤다.
"적절한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 ㉠㉡㉢㉣ 네 가지 맞고 틀린 거 판별하면 되는군.
2) 바로 하나씩 확인
㉠
(前) ㄱㅜㄱㅁㅣㄴ
(後) ㄱㅜㅇㅁㅣㄴ
☞ ㄱ이 ㅁ따라 ㅇ이 됨
- 조음 위치 그대로, 조음 방법 바뀜 - O
㉡
(前) ㄴㅗㄴㅂㅏㅌ
(後) ㄴㅗㄴㅂㅏㄷ
☞ ㅌ→ㄷ
- 조음 위치, 조음 방법 모두 같은 칸 - X
㉢
(前) ㄱㅜㄷㅣ
(後) ㄱㅜㅈㅣ
☞ ㄷ→ㅈ
- 조음 위치, 조음 방법 모두 바뀜 - O
㉣
(前) ㅅㅣㄹㄴㅐ
(後) ㅅㅣㄹㄹㅐ
☞ ㄴ→ㄹ
- 조음 위치 그대로, 조음 방법 바뀜 - X
정답 ㉠㉢ = ②
▼해설 ▼
(풀리는 흐름에서 충분히 다루어졌으므로 별도 해설 없음)
■■■5번 문제■■■
▼ 실전에서 풀리는 흐름 ▼ (적정 시간: 15초)
1) 발문을 읽고, 선지를 흘낏 봤다.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 법만/국밥/맏형
㉡ - 담자/안방/숨고
2) ㉠부터 판단했다.
- 뒷소리가 된소리 된 것은 국밥뿐이네. 판단 끝.
3) ㉡을 판단해서 ②③중 최종 정답을 확정했다.
- '담-'은 용언의 어간이지만 '안'은 용언의 어간 아님(작대기가 없음)
정답은 ②. 끝.
▼해설 ▼
(눈썰미 팁) 해당하는 것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문제가 꼭 한 문제 이상 나옵니다. 이때는, 판단하기 쉬워보이는 조건부터 하나씩 적용하며 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의 경우 뒷자음의 발음이 된소리인지를 먼저 걸러 보았더니 바로 한 단어만 남았습니다. ㉡의 경우 용언의 어간인지로 걸렀는데, 이건 작대기가 있는지만 보면 되므로 쉬웠습니다. 이렇든 분명하고 손쉬운 것부터 하나씩 적용시키며 답의 가능성이 남아 있는 것들만 더 세부적인 요소를 따지는 것이 경제적이고 효율적입니다.
덤으로, 된소리가 되는 세 가지 주요 현상 중 두 가지가 여기에서 나왔으니 내용적으로도 잘 기억해두기 바랍니다.(나머지 한 현상은 사잇소리 현상입니다.)
이걸로 적용학습 02강 복습을 마칩니다.
복습하면서 12~13쪽에 필기한 대원칙 1~3을 또 한 번 되새겼길 바랍니다. 그럼 모두 파이팅!
'[fin.] 2021 언어와매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 05~07강 겹문장 분해하기 (0) | 2021.04.02 |
---|---|
언어 04강 개별학습자료 (수능특강 국어영역 언어와매체) (0) | 2021.03.22 |
언어 03강 개별학습자료 (수능특강 국어영역 언어와매체) (0) | 2021.03.19 |
언어 01강 개별학습자료 (수능특강 국어영역 언어와매체) (0) | 2021.03.11 |
실전학습 1~2회 주요부분 해설(수능특강 국어영역 언어와매체) (0) | 202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