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학년도 1학기 중간고사 기출문제
5. '서경별곡'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끼리 묶인 것은? [2.3점]
<보기>
ⓐ 설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가 갈망하는 바를 드러내고 있다.
ⓑ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는 후렴구로서, 반복을 통해 작품의 주제를 강조하며 음악적 효과를 거둔다.
ⓒ 연이 구분된 연장체 형식으로, 3음보 율격을 지니고 있다.
ⓓ 화자는 '나'로, 청자는 '사공(너)'으로 표면화되어 나타난다.
①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
6.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점]
① ㉠:화자의 생계 수단으로,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② ㉡:임을 따르겠다는 화자의 적극적 태도가 드러난다.
③ ㉢:하강적 이미지를 형성하며, 화자의 당찬 태도를 보여준다.
④ ㉣:화자에게 질시(嫉視)의 대상이다.
⑤ ㉤:행위 주체는 임이며, 화자를 불안하게 하는 행위이다.
7. <보기>를 활용하여 '서경별곡'의 화자에 대해 탐구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5점]
<보기>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란 내부에서 나오는 충동을 억제하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도구로, 내적 갈등이 발생하거나 외부 환경의 요구와 자아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때 생기는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방어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유지하는 책략들을 일컫는다. 방어 기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일상에 사용하고 있는데 그 중에 몇 가지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퇴행(regression)은 미성숙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으로, 스스로 자신이 없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행동 등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어린 시절로 되돌아감으로써 불안을 감소하는 방법이다. 동생이 태어날 때 보이는 첫째 아이의 모습이 가장 대표적인 예인데, 동생이 태어나기 전에는 정상적이었다가 동생이 태어난 후에 침대에 오줌을 싸는 등 더 어린 시절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을 퇴행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전위(displacement)는 내적인 충동이나 욕망을 관련된 대상이 아닌 다른 대상에게 분출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의 속담 중 하나인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가 전위를 잘 설명한다. 회사에서 직장 상사에게 호되게 지적당한 후 애인에게 화풀이하는 등의 행동이 전위의 예이다.
세 번째로, 승화(sublimation)란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충동을 허용되는 행위로 전환하는 것으로, 공격적인 충동을 지닌 사람이 격투기 등의 운동 선수가 되어 그 충동을 충족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승화는 방어 기제 중에 성숙하고 건설적인 책략으로 여겨진다.
① 자신이 사랑하는 임이 떠나가는 상황에서도 이별의 상황과 그에 수반되는 슬픔의 감정에 얽매이기 보다는 자신의 생업에 집중하는 1연에서의 모습을 통해, '승화'라는 방어 기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 임과 행복했던 과거의 기억을 반추하며 현재의 슬픔을 잊고 새로운 출발을 하려는 2연에서의 모습을 통해, '퇴행'이라는 방어 기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③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미래의 일을 미리 걱정하며 염려하고 있는 2연에서의 모습을 통해, '퇴행'이라는 방어 기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④ 떠나는 임을 붙들지 못하는 답답함과 원망의 감정을 제3자인 사공에 대한 원망으로 표출하고 있는 3연에서의 모습을 통해, '전위'라는 방어 기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임과의 공간적 단절감을 실제의 이별로 확장하여 생각하는 3연에서의 모습을 통해, '전위'라는 방어 기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 '서경별곡'과 <보기>를 비교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3점]
<보기>
※ 파란색 글씨는 현대어 풀이.
가시리 가시리 잇고 나난
가시려 가시렵 니까
바리고 가시리 잇고 나난
버리고 가시렵 니까
위 증즐가 대평셩대(大平聖代)
날러는 엇디살라 하고
나더러는 어찌 살라 하고
바리고 가시리 잇고 나난
버리고 가시렵 니까
위 증즐가 대평셩대(大平聖代)
잡사와 두어리 마나난
붙잡아 두고는 싶지만
선하면 아니 올셰라
(한 번) 성가셔하면 (다시는) 아니 올까 두렵습니다.
위 증즐가 대평셩대(大平聖代)
셜온 님 보내옵 노니 나난
서러운 임 보내 오니
가시는 듯 도셔 오쇼셔 나는
가시는 듯 다시 오십시오.
위 증즐가 대평셩대(大平聖代)
- 작자 미상, ‘가시리’
① '서경별곡'과 <보기> 모두 화자의 소망과 배치(背馳)되는 임의 행위가 드러나 있다.
② '서경별곡'과 <보기> 모두 구체적 사물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형상화(形象化)하여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③ <보기>는 '서경별곡'과 달리 명령형 어미를 활용하여 화자의 기원을 드러내고 있다.
④ '서경별곡'에는 <보기>와 달리 임과의 이별을 거부하고 인정하지 않으려는 화자의 적극적인 의지가 드러나 있다.
⑤ '서경별곡'은 후렴구가 각 행의 뒤에 붙어 있으나, <보기>에서는 후렴구가 각 연의 뒤에 붙어 연과 연을 구분해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서·논술형2. [A]를 현대어로 해석하고, [A]가 포함된 행의 함축적 의미는 무엇인지 완결된 하나의 문장으로 서술하시오. [5점]
※ 정답 및 모범답안 (feat. 해설)
'[fin.] 2017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산십이곡 (0) | 2017.04.14 |
---|---|
만복사저포기 학습자료 (0) | 2017.03.31 |
제망매가 학습자료 (0) | 2017.03.27 |
공무도하가 학습자료 (0) | 2017.03.19 |
단군신화 학습자료 (0) | 2017.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