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학년도 1학기 2차 수시고사 기출문제
11. '도산십이곡'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끼리 묶인 것은? [2.1점]
<보기>
ⓐ <제1수>는 ‘언학(言學)’으로, 화자가 자신을 드러내고 삶의 지향을 제시함으로써 주제 의식을 환기한다.
ⓑ ‘草野愚生(초야우생)’은 시골에 묻혀서 사는 어리석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겸양(謙讓)의 표현이다.
ⓒ ‘泉石膏肓(천석고황)’은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을 뜻한다.
ⓓ ‘연하’와 ‘풍월’은 화자가 자신의 삶에 대해 자족감을 갖도록 하는 소재이다.
ⓔ ‘녀든 길’, ‘년 데(ㄷ·ㅣ)’는 맥락상 같은 의미를 가지는 시어들로, 이들은 ‘어듸’와 대조된다.
① ⓐ, ⓒ, ⓓ
② ⓑ, ⓒ, ⓓ
③ ⓐ, ⓑ, ⓒ, ⓓ
④ ⓑ, ⓒ, ⓓ, ⓔ
⑤ ⓐ, ⓑ, ⓒ, ⓓ, ⓔ
12. '도산십이곡'=(가)와 '어부사시사'=(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점]
① (가)의 화자는 자연을 통해 심성을 수양하고 배움을 얻고 있다.
② (나)의 화자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즐기고 있다.
③ (가)와 (나) 화자 모두 자연을 벗 삼아 지내고 있다.
④ (가)와 (나) 모두 화자의 감정이 투영(投影)된 자연물이 드러난다.
⑤ (가)와 (나) 화자 모두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태도를 보여준다.
13. <보기>의 상황에 놓인 사람에게 '도산십이곡'의 <제10수>의 화자가 들려줄 수 있는 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1점]
<보기>
노란 숲 속에 길이 두 갈래 갈라져 있었습니다.
안타깝게도 나는 두 길을 갈 수 없는
한 사람의 나그네라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덤불 속으로 꺾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보았습니다.
- 프로스트, ‘가지 않은 길’
①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고 하지 않던가? 그때그때 첩경(捷徑)을 택해 가게나.
② 늘 남의 떡이 더 커 보이듯, 이 길을 가면 저 길이 꽤나 부러울 테지. 하지만 잘못된 길을 간다고 해도 본인의 방향성만 흔들리지 않는다면 돌아올 여지는 있다네.
③ 나는 다른 길을 걷다가 다시 내가 생각하는 정도(正道)로 돌아왔다네. 우물을 파도 한 우물만 파랬다고, 이제는 내가 생각하는 올바른 길만 파고들려고 한다네.
④ 산토끼 잡으려다 집토끼 놓치는 법이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를 기준으로 갈 길을 택하게나.
⑤ 가다가 중지하면 아니 감만 못하다는 말도 있지만, 나는 나에게 더 중요하고 큰 의미가 있는 길로 돌아와 그 길만을 쭉 가려고 한다네.
14. <보기>의 내용을 참고하여 '어부사시사'=(나)를 평가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5점]
<보기>
문학론은 신라시대 때부터 있었을 것이라 생각되나, 문학론다운 논의는 고려후기에 나타났다. 이인로는 ‘파한집(破閑集)’에서 고인이 이르지 못한 신의(新意)를 창출하는 것이 으뜸이나 불가능하므로 고인의 글을 본받기를 힘쓰자고 하였다. 이와 달리 이규보는 규범이 되는 명문을 자기 것으로 삼으려는 것을 절도행위라고 규탄하며 모방이 아닌 새로운 표현을 창조할 것과 사회 비판을 강조하였다.
① 이인로는 평시조의 단조로움을 파괴하여 신의(新意)를 창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겠군.
② 이인로는 사계절의 흥취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는 시조의 문학적 관습을 잘 지켜냈다는 점에서 (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겠군.
③ 이규보는 후렴구를 통해 평시조의 정형성을 파괴했다는 점에서 (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겠군.
④ 이규보는 자연 속에 은거할 수밖에 없던 화자의 사회적 처지를 부각했다는 점에서 (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겠군.
⑤ 이규보는 강호한정가(江湖閑情歌)로서 사회 비판 의식이 결여됐다는 점에서 (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겠군.
서・논술형 3. '도산십이곡'에서 자연에 동화되어 그 덕을 예찬하는 마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은 몇째 수인지 쓰고, 그 수의 종장에서 화자가 다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완결된 한 문장으로 서술하시오.(몇째 수인지를 틀리게 쓰면 무조건 0점 처리)[6점]
※ 정답 및 모범답안 (feat. 해설)
'[fin.] 2017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미인곡 보충자료(2학년 1~6반 필독) (0) | 2017.04.18 |
---|---|
속미인곡 (0) | 2017.04.14 |
만복사저포기 학습자료 (0) | 2017.03.31 |
서경별곡 학습자료 (0) | 2017.03.30 |
제망매가 학습자료 (0) | 2017.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