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학년도 1학기 2차 수시고사 기출문제

 

 

(가)
  어이 못 오던다 무슨 일로 못 오던다.
  너 오는 길 우희 무쇠로 성(城)을 싸고 성(城) 안헤 담 싸고 담 안헤란 집을 짓고 집 안헤란 두지 노코 두지 안헤 궤(櫃)를 노코 궤(櫃) 안헤 너를 결박(結縛)하여 노코 쌍(雙)배목 외걸새에 용(龍)거북 자물쇠로 수기수기 잠갓더냐 네 어이 그리 아니 오던다.
  한 달이 셜흔 날이여니 날 보라 올 할리 업스랴.

 

(나)
  창(窓) 내고쟈 창(窓)을 내고쟈 이 내 가슴에 창(窓) 내고쟈
  고모장지 셰살장지 들장지 열장지 암돌져귀 수돌져귀 배목걸새 크나큰 쟝도리로 뚱딱 바가 이 내 가슴에 창(窓) 내고쟈
  잇다감 하 답답할 제면 여다져 볼가 하노라.

 

(다)
  한숨아 셰한숨아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온다.
  고모장지 셰살장지 들장지 열장지에 암돌져귀 수돌져귀 배목걸새 뚝닥 박고 크나큰 잠을쇠로 숙이숙이 채웠는데 병풍이라 덜컥 접고 족자라 데굴데굴 말고, 네 어느 틈으로 드러온다.
  어인지 너 온 날이면 잠 못 드러 하노라.

 

 
5. (가)~(다)가 속한 갈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1점]
① 중세 후기 문학의 시기에 발생하였으며, 당시 이를 향유하던 계층의 세계관이나 문학적 지향은 현대에도 유지되고 있다.
② 작가층의 확대와 정형성으로부터의 일탈이라는 당대 문학 흐름의 영향 하에 창작되었다.
③ 각 장의 음보가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점에서 가사 갈래와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④ 향유 계층의 확대로 인하여 한 작품 내에서도 서로 상반되는 미의식이 나타났다.
⑤ 행의 길이와 개수를 기준으로 하여 기본형과 구별되는 변이형이 발생하였다.
 
 
 
6. (가)~(다)의 표현상 특징을 <보기>와 같이 정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5점]
<보기>
① (가)에만 나타나는 특징 : 앞 구절의 일부분을 다음 구절에서 다시 되풀이하는 방식을 통해 구절 간의 연결을 긴밀히 하고 있다.
② (가)와 (나)에만 나타나는 특징 : 시적 화자가 작품의 표면에 등장하여 자신의 감정을 구체화하고 있다.
③ (나)와 (다)에만 나타나는 특징 : 특정 문장 구조의 반복과 확장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심화하고 있다.
④ (가)와 (다)에만 나타나는 특징 : 자문자답의 방식을 통해 화자의 간절한 소망을 제시하고 있다.
⑤ (다)에만 나타나는 특징 : 대상에 인격을 부여하고 이에 대해 말을 건네는 어투를 사용하고 있다.
 
 
 
7. (가)~(다)의 화자가 대화를 나눈다고 가정할 때 그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점]
① (가) : 왜 제가 사랑하는 사람은 저를 찾아 주지 않는 걸까요? 궁금한 마음에 이유를 추측해 보지만 저를 찾아 주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은 가시지를 않네요.
② (나) : 그 심정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전 제 답답한 심정에 대한 이유를 찾기보다는 이런 심정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상상해 보게 된답니다.
③ (다) : 정말이지 답답한 마음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전 늘 한숨만 쉬느라 잠 못 이루는 나날을 보내고 있어요.
④ (나) : 이런 심정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현실에서 찾을 수 있을는지요. 저도 답답한 마음을 풀 수 있을 것 같은 가상의 방법을 그려냈을 뿐이랍니다.
⑤ (가) : 그나마 이렇게 같은 처지에 놓인 사람들끼리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감정을 공유하는 기회를 갖게 되어 다행입니다. 제가 느꼈던 슬픔과 원망의 감정도 어느 정도 풀린 듯해요.
 
 
 
서·논술형2. 시적 발상의 측면에서 발견되는 (가)(나)의 공통점을 하나의 완결된 문장으로 서술하시오. [5점]

 

 

 

 
※ 정답 및 모범답안 (feat. 해설)

8_어이못오던다.txt

 

'[fin.] 2017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학습자료  (0) 2017.05.23
절명시 학습자료  (0) 2017.05.16
속미인곡 보충자료(2학년 1~6반 필독)  (0) 2017.04.18
속미인곡  (0) 2017.04.14
도산십이곡  (0) 2017.04.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