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대상을 의인화하여 친밀감을 드러낸다.
②경어체를 사용하여 차분한 어조를 형성한다.
③어순의 도치를 통해 대상에 대한 예찬을 드러낸다.
④독백적 어조로 대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드러낸다.
⑤특정 지시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중심 소재에 초점을 맞춘다.
①작품 속에 있는 화자가 대상의 본질을 이해하려고 하고 있다.
②작품 속에 있는 화자가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시도하고 있다.
③작품 밖에 있는 화자가 대상의 질적인 성숙을 격려하고 있다.
④작품 밖에 있는 화자가 위기에 처한 대상의 회복을 돕고 있다.
⑤작품 속에 있는 화자가 대상으로부터 이해와 공감을 받고자 하고 있다.
①화자는 ‘여러 겹의 마음’ 때문에 대상을 멀리 했었어.
②‘멀리로 멀리로’는 대상에 대한 화자의 거리감을 나타내.
③‘수천의 빛깔’은 대상이 지닌 내적인 참모습이나 본질을 가리켜.
④‘눈부셔 눈부셔’는 화자가 대상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 과정의 느낌이야.
⑤화자가 나무 그늘 밑에 있다는 것은 대상의 양면성을 포용하려는 의지를 보여줘.
↓
(계기 : ______ⓐ______)
↓
복숭아나무에 대한 재인식
↓
복숭아나무에 대한 이해와 공감
②가까이 가고 싶지 않아 멀리로 지나쳐 감
③사람이 앉지 못할 그늘을 가졌을 거라고 생각함
④흰꽃과 분홍꽃 사이에 수천의 빛깔이 있음을 발견함
⑤흩어진 꽃잎들이 어디 먼 데 닿았을 거라고 예상함
①[A]는 시상이 촉발되는 부분으로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감정이 ‘가고 싶지 않았습니다’라는 시구에 나타나 있다.
②[B]는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감정이 드러난 부분으로 ‘멀리로 멀리로만 지나쳤을 뿐입니다’라는 시구에 나타나 있다.
③[C]는 대상에 대한 화자의 인식이 이전과 달라지는 부분으로 ‘흰꽃과 분홍꽃 사이’라는 시구에 나타나 있다.
④[D]는 대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나타나는 부분으로 ‘피우고 싶은 꽃빛이 너무 많은’이라는 시구에 나타나 있다.
⑤[E]는 대상을 가까이에서 바라본 화자가 대상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는 부분으로 ‘심심한 얼굴을 하고 있는’이라는 시구에 나타나 있다.
이 작품은 타인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에서 벗어나 대상이 지닌 참모습을 발견하고 타인에 관한 진정한 이해에 도달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그 복숭아나무’로 비유된 시적 대상에 대해 화자는 처음에는 심리적 거리감을 느꼈으나 한참 시간이 흐른 후에야 그 대상에 대해 이해하고 깨달은 뒤 비로소 대상과의 거리감이 사라진 조화로운 시간 속에서 대상과 교감하게 된다.
① ㉠, ㉡ / ㉢, ㉣, ㉤
② ㉠, ㉡, ㉢ / ㉣, ㉤
③ ㉠, ㉤ / ㉡, ㉢, ㉣
④ ㉡, ㉢ / ㉠, ㉣, ㉤
⑤ ㉢ / ㉠, ㉡, ㉣, ㉤
①화자가 바라보는 복숭아나무의 모습은 흰색과 분홍색을 사용해 꾸며야겠어.
②복숭아나무를 멀리서 바라본 장면과 가까이에서 바라본 장면을 모두 준비해야겠어.
③복숭아나무에서 꽃잎이 떨어지는 모습을 클로즈업해서 존재의 무상함을 드러내자.
④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어울리는 조용하고 차분한 배경 음악을 같이 골라 보자.
⑤화자가 복숭아나무에 점점 가까이 다가가는 모습을 느린 속도로 편집하여 보여 주면 어떨까?
(가)=나희덕,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나)=안도현, ‘간격’
8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유사한 시구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②자연현상으로부터 얻은 깨달음을 독백조로 전개하고 있다.
③화자가 깨달음을 얻게 된 구체적인 경험의 내용으로 시상을 마무리하고 있다.
④대상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을 통해 대상에 대한 화자의 친밀감을 드러내고 있다.
⑤대상에 대한 오해로 시작하여 대상에 대한 참된 이해를 얻는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이 작품은 숲이 불타 버린 자리에서, 나무들이 울창한 숲을 이루는 것은 _____ⓐ______이/가 있기 때문이라는 깨달음을 통해, 사람들 사이의 진정한 인간관계도 서로가 한 발짝 떨어진 곳에서 관조할 수 있는 여유와 기다림이 있을 때 완성된다는 삶의 의미를 담담하게 드러내고 있다.
①나무
②어깨
③숲
④간격
⑤산불
① (가), (나)는 모두 촉각적 이미지를 통해 대상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② (나)와 달리 (가)는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개별 대상들의 모습을 관찰한다.
③ (가)와 달리 (나)는 의인화된 대상의 정서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어 보여준다.
④ (가)와 달리 (나)는 대상과의 거리가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로 작용한다.
⑤ (나)와 달리 (가)는 대상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건을 제시한다.
정답: ③①⑤④③②③④④④
【작품 너머로】
안도현 '간격'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성찰적, 상징적
어조: 독백적, 성찰적
제재: 숲
주제: 적당한 간격의 소중함에 관한 깨달음 (※같은 맥락의 작품: 김승희 '만파식적-남편에게')
Trivia
-나무를 인격화하여 인간의 삶과 관련된 의미를 부여함
-새롭게 깨달은 바를 깨달음을 얻기 전의 상황과 대비하여 표현함
(※안도현 시인 인터뷰자료: 아래 링크 7면 '시인 안도현에게 듣다')
http://winterfg.tistory.com/attachment/cfile7.uf@246B8B39587E732D0AA134.pdf
'[fin.] 2019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학습자료 (0) | 2019.03.30 |
---|---|
흰 바람벽이 있어 학습자료 (0) | 2019.03.26 |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읽기자료 (0) | 2019.03.19 |
두근두근 내 인생 학습자료 (0) | 2019.03.19 |
두근두근 내 인생 읽기자료 (0) | 2019.03.04 |